203p에서 검정색11번 동그라미에서 답이 A[E+1]이 잖아요.
그러면 몫이 1이 돼서 1을 출력하려면 배열 0 1 2 3 4 ... 에서
배열은 0부터 시작이니깐 A[1]이라고 하면 A[E] 아닌가요??..
책 풀면서 보니깐 배열 시작은 A[0]부터인데 A[1]부터 시작하는거 같더라고요..
제가 이해를 잘못한건지 아니면 보기쉽게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변경한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순서도에서 2x5를 2*5로 2^5을 pow(2,5)라고 써도 되나요? 아니면 c언어 코딩과 별개로 다르게 적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순서도는 프로그래밍 언어 뿐만이 아닌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기에 배열의 시작을 [1]을 기본으로,
C와 JAVA의 경우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상 시작을 [0]으로 두고 있습니다.
문제에서 <처리 조건>으로 배열의 시작을 [1] 또는 [0]이라고 언급하지 않는 이상 위의 기준을 따라주시면 됩니다.
때문에 해당 순서도에서는 0~9, A~F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은 [1]~[16]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A[E+1]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순서도에서 사칙연산을 기록할 때는 일반적인 사칙연산 기호를 사용해 주세요. (+-×÷)
제곱 또한 pow는 C언어에서 사용하는 수학 함수목록의 하나로 순서도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합니다.
일반적인 수학기호를 사용해주세요. (^√)
위의 사항 또한 <처리 조건>으로 특정 함수(pow 같은)를 언급하고 있다면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17 14:55:09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순서도는 프로그래밍 언어 뿐만이 아닌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기에 배열의 시작을 [1]을 기본으로,
C와 JAVA의 경우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상 시작을 [0]으로 두고 있습니다.
문제에서 <처리 조건>으로 배열의 시작을 [1] 또는 [0]이라고 언급하지 않는 이상 위의 기준을 따라주시면 됩니다.
때문에 해당 순서도에서는 0~9, A~F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은 [1]~[16]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A[E+1]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순서도에서 사칙연산을 기록할 때는 일반적인 사칙연산 기호를 사용해 주세요. (+-×÷)
제곱 또한 pow는 C언어에서 사용하는 수학 함수목록의 하나로 순서도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합니다.
일반적인 수학기호를 사용해주세요. (^√)
위의 사항 또한 <처리 조건>으로 특정 함수(pow 같은)를 언급하고 있다면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