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4쪽 예제2의 4번 static 설명에 'main메소드가 속해있는 클래스'란 public class Example{...}안 이란 말인가요?
맞다면 4번을 public class Example{...}밖에 정의 할경우 static을 안 붙여도 되는거 맞나요?
2. 294쪽에 2번 빈칸에 답은 J>N인데 J>10도 가능하지 않나요?
3. 432쪽 빈칸 1번에 k가 아니라 k-1인 이유는 DATA[k].BUNHO=0인 행렬은 제외하기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104쪽 예제2의 4번 static 설명에 'main메소드가 속해있는 클래스'란 public class Example{...}안 이란 말인가요?
[답변]
예, 맞습니다.
맨 윗줄에 있는 ‘public class Example’을 의미합니다.
맞다면 4번을 public class Example{...}밖에 정의 할경우 static을 안 붙여도 되는거 맞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103쪽의 예제1과 같이 ‘class AAclass’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2. 294쪽에 2번 빈칸에 답은 J>N인데 J>10도 가능하지 않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변수 N은 점수의 개수 10을 저장한 이후로 변화가 없으므로, 변수 N 대신 10을 넣어도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므로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3. 432쪽 빈칸 1번에 k가 아니라 k-1인 이유는 DATA[k].BUNHO=0인 행렬은 제외하기 때문인가요?
[답변]
예, 맞습니다.
⑤번 과정에서 구조체 변수 DATA[K].BUNHO에는 0이 입력되어 있어 있기 때문에, 1을 감소한 값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11 15:41:51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104쪽 예제2의 4번 static 설명에 'main메소드가 속해있는 클래스'란 public class Example{...}안 이란 말인가요?
[답변]
예, 맞습니다.
맨 윗줄에 있는 ‘public class Example’을 의미합니다.
맞다면 4번을 public class Example{...}밖에 정의 할경우 static을 안 붙여도 되는거 맞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103쪽의 예제1과 같이 ‘class AAclass’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2. 294쪽에 2번 빈칸에 답은 J>N인데 J>10도 가능하지 않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변수 N은 점수의 개수 10을 저장한 이후로 변화가 없으므로, 변수 N 대신 10을 넣어도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므로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3. 432쪽 빈칸 1번에 k가 아니라 k-1인 이유는 DATA[k].BUNHO=0인 행렬은 제외하기 때문인가요?
[답변]
예, 맞습니다.
⑤번 과정에서 구조체 변수 DATA[K].BUNHO에는 0이 입력되어 있어 있기 때문에, 1을 감소한 값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