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⑨번은 각 회전에서 ⑥번을 수행하고 난 후 기준이 되는 값을 맞는 위치에 되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⑤번에서 A[K]가 교환의 기준이 되는 A[i]가 저장된 KEY보다 클 때 A[K+1]에 A[K]를 저장함으로써 A[K+1]과 A[K]는 같은 값을 갖게 됩니다. 이 때 A[K+1]값은 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배열 A에 아래와 같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
80 |
50 |
60 |
20 |
40 |
⑥번을 수행하면 A[2]가 A[1]을 갖게 되어
|
80 |
80 |
60 |
20 |
40 |
이 저장되어서 기존의 A[2] 값인 50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50을 다시 넣어주는 역할을 ⑨번이 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290쪽의 순서도에서 배열의 크기를 5로 가정하고, 배열 A에 80, 50, 60, 20, 40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한 후 디버깅한 결과입니다. 디버깅을 통해 다시 한 번 검토해보세요.
|
i |
K |
KEY |
A[i] |
A[K] |
A[K+1] |
A[5] |
||||||||||||||||||||||||||||||||||||||||
|
2 3 4 5 6 |
1 0 2 1 3 2 1 0 4 3 2 1 |
50 60 20 40 |
50 60 20 40 |
80 80 50 80 60 50 80 60 50 20 |
80 50 80 60 80 60 50 20 80 60 50 40 |
|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11 15:30:38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⑨번은 각 회전에서 ⑥번을 수행하고 난 후 기준이 되는 값을 맞는 위치에 되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⑤번에서 A[K]가 교환의 기준이 되는 A[i]가 저장된 KEY보다 클 때 A[K+1]에 A[K]를 저장함으로써 A[K+1]과 A[K]는 같은 값을 갖게 됩니다. 이 때 A[K+1]값은 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배열 A에 아래와 같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80
50
60
20
40
⑥번을 수행하면 A[2]가 A[1]을 갖게 되어
80
80
60
20
40
이 저장되어서 기존의 A[2] 값인 50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50을 다시 넣어주는 역할을 ⑨번이 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290쪽의 순서도에서 배열의 크기를 5로 가정하고, 배열 A에 80, 50, 60, 20, 40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한 후 디버깅한 결과입니다. 디버깅을 통해 다시 한 번 검토해보세요.
i
K
KEY
A[i]
A[K]
A[K+1]
A[5]
2
3
4
5
6
1
0
2
1
3
2
1
0
4
3
2
1
50
60
20
40
50
60
20
40
80
80
50
80
60
50
80
60
50
20
80
50
80
60
80
60
50
20
80
60
50
40
805060
20
40
50
80
50
806020
40
60
80
5060802040
20
50
60
80
20
5060804040
50
60
80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