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정답 기입 시에 '릴레이션'과 '테이블'을 혼용해도 되나요?
2.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7년 1회차 4번문제 정답이 SSO, OTP라고 되어있는데
OTP는 아닌것 같습니다. 교재에서 OTP는 SSO와 별도로 설명이 있는데 주어진 설명은 SSO이고 OTP는 다른 설명이 존재합니다.
3.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7년 1회차 5번문제 질문있습니다.
(1)
정답이 DDoS, DoS인데 시험에서의 정의와 102섹션 설명 부분이 유사하지만 다른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제시된 정답이 맞나요?
(2)
DDoS에 대해 교재에서는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한다'고 되어있는데 5번 문제에서는 해당 문장이 없으므로 정답은 DoS만 되는거 아닌가요?
(3)
부록 자료를 포함해서, 교재에 DoS 정의가 별도로 있나요? 아니면 DDoS와 DoS는 혼용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정답 기입 시에 '릴레이션'과 '테이블'을 혼용해도 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릴레이션과 테이블은 표현할 때 거의 동일하게 표현하지만 다른 성질을 가집니다.
릴레이션은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하는 반면, 테이블은 이 릴레이션을 기술하는 구체적인 표현에 해당합니다. 문제에서 명확히 둘을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제시한다면 구분해서 사용해야 할 수도 있으니 처리조건에 명칭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단서가 있다면 그에 맞게 작성하면 됩니다.
2.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7년 1회차 4번문제 정답이 SSO, OTP라고 되어있는데
OTP는 아닌것 같습니다. 교재에서 OTP는 SSO와 별도로 설명이 있는데 주어진 설명은 SSO이고 OTP는 다른 설명이 존재합니다.
[답변]
예, 맞습니다.
실기 기출문제는 문제와 정답을 공개하지 않아 완벽한 복원이 어렵습니다. 해당 문제가 출제된 이후 인터넷에서 거론되던 가답안에는 OTP와 SSO 둘 모두가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도 있다는 글들이 있었지만, 시행처에서 문제와 답을 공개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확인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복원한 내용은 교재의 내용 중 SSO를 기반으로 문제를 재구성하였기에 회원님과 같은 이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7년 1회차 5번문제 질문있습니다.
(1) 정답이 DDoS, DoS인데 시험에서의 정의와 102섹션 설명 부분이 유사하지만 다른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제시된 정답이 맞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DoS와 DDoS의 차이점은 직접 공격하는 것이 DoS, 좀비PC를 만들어 수많은 PC들을 앞세워 공격하는 것이 DDoS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당 지문에서는 공격자가 직접 시도했는지 좀비 PC를 이용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둘 모두가 정답에 해당합니다.
(2) DDoS에 대해 교재에서는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한다'고 되어있는데 5번 문제에서는 해당 문장이 없으므로 정답은 DoS만 되는거 아닌가요?
[답변]
아닙니다.
해당 지문과 같이 명확히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답(DDoS와 DoS) 모두가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행처에서 채점과 관련된 기준이 제시되지 않으므로 명확히 답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3) 부록 자료를 포함해서, 교재에 DoS 정의가 별도로 있나요? 아니면 DDoS와 DoS는 혼용해도 되나요?
[답변]
구분을 해서 기억해 두세요.
교재에 DoS에 대한 정의는 따로 없으나, DDoS가 감염된 좀비 PC를 앞세워서 간접적으로 공격하는 방식이라면, DoS는 직접 공격하는 방식이라는 점만 구분해서 알아두세요. 실제 시험 문제의 내용에서 둘을 구분할 수 있는 차이점이 명확히 제시된다면 이를 구분해서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 향후 채점상에서 받을 수 있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10 16:17:37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정답 기입 시에 '릴레이션'과 '테이블'을 혼용해도 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릴레이션과 테이블은 표현할 때 거의 동일하게 표현하지만 다른 성질을 가집니다.
릴레이션은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하는 반면, 테이블은 이 릴레이션을 기술하는 구체적인 표현에 해당합니다. 문제에서 명확히 둘을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제시한다면 구분해서 사용해야 할 수도 있으니 처리조건에 명칭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단서가 있다면 그에 맞게 작성하면 됩니다.
2.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7년 1회차 4번문제 정답이 SSO, OTP라고 되어있는데
OTP는 아닌것 같습니다. 교재에서 OTP는 SSO와 별도로 설명이 있는데 주어진 설명은 SSO이고 OTP는 다른 설명이 존재합니다.
[답변]
예, 맞습니다.
실기 기출문제는 문제와 정답을 공개하지 않아 완벽한 복원이 어렵습니다. 해당 문제가 출제된 이후 인터넷에서 거론되던 가답안에는 OTP와 SSO 둘 모두가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도 있다는 글들이 있었지만, 시행처에서 문제와 답을 공개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확인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복원한 내용은 교재의 내용 중 SSO를 기반으로 문제를 재구성하였기에 회원님과 같은 이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7년 1회차 5번문제 질문있습니다.
(1) 정답이 DDoS, DoS인데 시험에서의 정의와 102섹션 설명 부분이 유사하지만 다른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제시된 정답이 맞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DoS와 DDoS의 차이점은 직접 공격하는 것이 DoS, 좀비PC를 만들어 수많은 PC들을 앞세워 공격하는 것이 DDoS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당 지문에서는 공격자가 직접 시도했는지 좀비 PC를 이용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둘 모두가 정답에 해당합니다.
(2) DDoS에 대해 교재에서는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한다'고 되어있는데 5번 문제에서는 해당 문장이 없으므로 정답은 DoS만 되는거 아닌가요?
[답변]
아닙니다.
해당 지문과 같이 명확히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답(DDoS와 DoS) 모두가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행처에서 채점과 관련된 기준이 제시되지 않으므로 명확히 답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3) 부록 자료를 포함해서, 교재에 DoS 정의가 별도로 있나요? 아니면 DDoS와 DoS는 혼용해도 되나요?
[답변]
구분을 해서 기억해 두세요.
교재에 DoS에 대한 정의는 따로 없으나, DDoS가 감염된 좀비 PC를 앞세워서 간접적으로 공격하는 방식이라면, DoS는 직접 공격하는 방식이라는 점만 구분해서 알아두세요. 실제 시험 문제의 내용에서 둘을 구분할 수 있는 차이점이 명확히 제시된다면 이를 구분해서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 향후 채점상에서 받을 수 있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