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여러가지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조회수
255
작성일
2018-09-09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1.

2권 139페이지 오른쪽 '부분 함수적 종속' 설명 부분에서 '임의의' 라는 단어는 빼야할 것 같습니다.

옆의 예시에서 학년 속성은 (학번, 과목번호)의 진부분집합인 학번에만 함수적 종속이므로 '임의의 진부분 집합'이 아닌 '여러 진부분 집합들 중 일부에 함수적 종속'이 맞는것 같습니다.

2.

(1)

2권 140페이지 문제 2 해설에서 '주문번호, 부품번호는 식별자이다'라고 되어있는데

기본키와 식별자는 같은 의미인가요?

(2)

2권 140페이지 문제 2번에서

'주문날짜', '주문가격'은 각각 (주문번호, 부품번호)에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할 수 있죠?

3.

79섹션 기출따라잡기 문제 3, 5번 문제에서 '어떤 단계의 정규화 과정인지' 쓰라고 했으므로 정답 기입시 '제 # 정규화'로 써야하나요?

앞의 정규화 설명 부분에는 '제 # 정규형' 이라고 써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에 '제 # 정규형'이라고 쓰면 안되나요?

4.

2017년 2회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 6번에서

정답을 '애드 혹 네트워크'로 써도 되나요?

교재에는 상기 표현으로 기재되어있는데 정답에는 이와 같은 표현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2018-09-10 16:09:40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139페이지 오른쪽 '부분 함수적 종속' 설명 부분에서 '임의의' 라는 단어는 빼야할 것 같습니다. 옆의 예시에서 학년 속성은 (학번, 과목번호)의 진부분집합인 학번에만 함수적 종속이므로 '임의의 진부분 집합'이 아닌 '여러 진부분 집합들 중 일부에 함수적 종속'이 맞는것 같습니다.

[답변]

예, 맞습니다.

회원님이 말씀하신 표현이 좀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다만 부분 함수적 종속에 대해서는 ‘섹션’과 ‘잠깐만요’ 등에서 충분히 설명되어지고 있는 내용임으로 ‘임의의’로 언급하여도 다른 독자분들이 충분히 이해하실 것이라 생각하고 사용한 표현입니다.

2.(1) 2권 140페이지 문제 2 해설에서 '주문번호, 부품번호는 식별자이다'라고 되어있는데 기본키와 식별자는 같은 의미인가요?

[답변]

식별자는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값을 의미합니다. 기본키는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릴레이션에서는 동일한 의미로 보셔도 무관합니다.

(2) 2권 140페이지 문제 2번에서 '주문날짜', '주문가격'은 각각 (주문번호, 부품번호)에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할 수 있죠?

[답변]

예, 맞습니다.

‘주문날짜’은 기본키의 일부인 ‘주문번호’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부분 함수적 종속입니다.

‘부품가격’은 기본키의 일부인 ‘부품번호’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부분 함수적 종속입니다.

3. 79섹션 기출따라잡기 문제 3, 5번 문제에서 '어떤 단계의 정규화 과정인지' 쓰라고 했으므로 정답 기입시 '제 # 정규화'로 써야하나요?

앞의 정규화 설명 부분에는 '제 # 정규형' 이라고 써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에 '제 # 정규형'이라고 쓰면 안되나요?

[답변]

‘제 # 정규화’라고 쓰시는 것이 맞습니다.

‘제 # 정규형’이라고 쓰는 경우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크나, 명확히 쓰는 것이 좋습니다.

4. 2017년 2회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 6번에서 정답을 '애드 혹 네트워크'로 써도 되나요?

[답변]

예, 문제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8-09-10 16:09:40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139페이지 오른쪽 '부분 함수적 종속' 설명 부분에서 '임의의' 라는 단어는 빼야할 것 같습니다. 옆의 예시에서 학년 속성은 (학번, 과목번호)의 진부분집합인 학번에만 함수적 종속이므로 '임의의 진부분 집합'이 아닌 '여러 진부분 집합들 중 일부에 함수적 종속'이 맞는것 같습니다.

    [답변]

    예, 맞습니다.

    회원님이 말씀하신 표현이 좀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다만 부분 함수적 종속에 대해서는 ‘섹션’과 ‘잠깐만요’ 등에서 충분히 설명되어지고 있는 내용임으로 ‘임의의’로 언급하여도 다른 독자분들이 충분히 이해하실 것이라 생각하고 사용한 표현입니다.

    2.(1) 2권 140페이지 문제 2 해설에서 '주문번호, 부품번호는 식별자이다'라고 되어있는데 기본키와 식별자는 같은 의미인가요?

    [답변]

    식별자는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값을 의미합니다. 기본키는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릴레이션에서는 동일한 의미로 보셔도 무관합니다.

    (2) 2권 140페이지 문제 2번에서 '주문날짜', '주문가격'은 각각 (주문번호, 부품번호)에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할 수 있죠?

    [답변]

    예, 맞습니다.

    ‘주문날짜’은 기본키의 일부인 ‘주문번호’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부분 함수적 종속입니다.

    ‘부품가격’은 기본키의 일부인 ‘부품번호’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부분 함수적 종속입니다.

    3. 79섹션 기출따라잡기 문제 3, 5번 문제에서 '어떤 단계의 정규화 과정인지' 쓰라고 했으므로 정답 기입시 '제 # 정규화'로 써야하나요?

    앞의 정규화 설명 부분에는 '제 # 정규형' 이라고 써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에 '제 # 정규형'이라고 쓰면 안되나요?

    [답변]

    ‘제 # 정규화’라고 쓰시는 것이 맞습니다.

    ‘제 # 정규형’이라고 쓰는 경우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크나, 명확히 쓰는 것이 좋습니다.

    4. 2017년 2회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 6번에서 정답을 '애드 혹 네트워크'로 써도 되나요?

    [답변]

    예, 문제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