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권 69페이지 switch문에서 default:문에 대해 break;는 안써도 되는거죠?
(2) 1권 132페이지 55번 문제 <알고리즘의 이해>에서 2번째 줄 끝의 '작은 값'을 '큰 값', 5번째줄 오른 쪽부분의 '큰 값'을 '작은 값'으로 바꿔야하는거 아닌가요?
(3) 1권 167페이지 1번 문제 순서도의 5번 괄호에서 정답이 P<77로 되어있는데 Q>1도 되나요?
(4) 1권 170페이지 문제 4의 괄호 1번 정답이 k==j 이던데 j==k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switch는 반복문이 아닙니다. 마지막 문장을 끝내면 바로 구문을 탈출하기 때문에, 마지막에 굳이 break를 넣지 않아도 됩니다.
2. 일반적으로 최소값 최대값을 찾을 때 비교인자에는 반대 값의 가장 큰 수를 놓고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배열 A에서 최대값을 찾는다고 했을 때 비교인자 B에 0을 넣은 뒤 하나씩 비교하는 식입니다.
반대로, 최소값을 찾는다고 했을 때 비교인자 B에 99999와 같은 큰 값을 넣고 하나씩 비교합니다.
즉, 최대값을 찾을 때는 비교인자를 가장 작은 값, 최소값을 찾을 때는 비교인자를 가장 큰 값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3. 예, 가능합니다.
4. 전혀 문제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8-28 09:24:23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switch는 반복문이 아닙니다. 마지막 문장을 끝내면 바로 구문을 탈출하기 때문에, 마지막에 굳이 break를 넣지 않아도 됩니다.
2. 일반적으로 최소값 최대값을 찾을 때 비교인자에는 반대 값의 가장 큰 수를 놓고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배열 A에서 최대값을 찾는다고 했을 때 비교인자 B에 0을 넣은 뒤 하나씩 비교하는 식입니다.
반대로, 최소값을 찾는다고 했을 때 비교인자 B에 99999와 같은 큰 값을 넣고 하나씩 비교합니다.
즉, 최대값을 찾을 때는 비교인자를 가장 작은 값, 최소값을 찾을 때는 비교인자를 가장 큰 값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3. 예, 가능합니다.
4. 전혀 문제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