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용어 정의에 대해 다시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조회수
98
작성일
2018-08-20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84섹션 용어 정의를 써봤는데 맞는지 틀리는지 검토해 달라고 질문했었는데, 답변을 받았습니다

로킹 기법: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사용하기 전에 잠금을 요청하여 잠금을 허락받아야만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답변]

로킹 기법은 트랙잭션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잠그거나 해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에 접근하기 전에 잠금을 요청하여 다른 트랜잭션이 해당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며,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데이터의 잠금을 해제하여 다른 데이터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런데 제가 쓴 정의는 2권 485페이지 정답에 나온 정의에서 '액세스'를 '사용'이라고 바꾸고 쓴 것인데

답변 내용에는 이와는 다르게 정의가 되어있습니다.

교재 정답에 나온 정의는 틀린건가요?

2.

병행 제어 기법 중 '로킹 기법'이 있는데 이 '로킹 기법'이 2권 182페이지에 나온 잠금(Lock)과 같은 용어인가요?

3.

86섹션 기출 따라잡기 2번문제에서 두번째 줄에 '낮은 (선택성)을 가지는 인덱스'의 예로 성별 칼럼이 있는데 이는 높은 선택성을 가지는 인덱스 아닌가요?

[답변]

낮은 선택성이란 분포도가 적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포도가 적을 수록 선택성이 좋습니다.

어제 질문에 대해 이렇게 답변이 왔는데

문제 본문 첫번째 줄에서 인덱스의 선택성은 인덱스의 키 값당 행의 개수를 기준으로 산정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성별 컬럼은 키 값당 많은 수의 행을 가진다고 했으므로 '낮은' 선택성이 아니라 '높은' 선택성이라고 고쳐야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2018-08-20 19:23:31

안녕하세요.

1)

접근(액세스)과 사용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고 답변하였습니다.

사용하기 위해 접근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둘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485쪽 교재 정답]

주요 데이터의 액세스를 상호 배타적으로 하는 것으로, 트랜잭션들이 어떤 로킹 단위를 액세스하기 전에 Lock(잠금)을 요청해서 Lock이 허락되어야만 그 로킹 단위를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위와 같이 로킹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 트랜잭션이 병행처리를 수행할 때 특정 트랜잭션이 사용중인 데이터를 임의로 접근(사용)할 수 없도록 하려는 목적입니다.

답변은 로킹의 설정과 해제에 대한 내용을 모두 답아 정리한 것입니다.

2)

답변 내용에 오류가 있어 혼동을 드렸습니다.

분포도가 낮으면 그 만큼 선택성이 높습니다(좋습니다).

분포도가 높으면 그 만큼 선택성이 낮습니다(나쁩니다).

레코드가 10개가 있는데 이를 구분하는 기준을 성별로 했다고 가정하고 남과 여가 각각 5명씩이라면

성별의 남 5개, 여 5개가 됩니다.

하지만 이름으로 구분할 경우 중복되는 이름이 없다면 각 이름별로 하나의 레코드만 갖게 됩니다.

성별로 구분하는 경우가 키 값당 더 많은 레코드를 갖게 됩니다. 이런 경우 분포가 높아 낮은 선택성을 갖습니다.

이름은 이와 달라 분포도가 낮아 높은 선택성을 갖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8-08-20 19:23:31

    안녕하세요.

    1)

    접근(액세스)과 사용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고 답변하였습니다.

    사용하기 위해 접근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둘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485쪽 교재 정답]

    주요 데이터의 액세스를 상호 배타적으로 하는 것으로, 트랜잭션들이 어떤 로킹 단위를 액세스하기 전에 Lock(잠금)을 요청해서 Lock이 허락되어야만 그 로킹 단위를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위와 같이 로킹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 트랜잭션이 병행처리를 수행할 때 특정 트랜잭션이 사용중인 데이터를 임의로 접근(사용)할 수 없도록 하려는 목적입니다.

    답변은 로킹의 설정과 해제에 대한 내용을 모두 답아 정리한 것입니다.

    2)

    답변 내용에 오류가 있어 혼동을 드렸습니다.

    분포도가 낮으면 그 만큼 선택성이 높습니다(좋습니다).

    분포도가 높으면 그 만큼 선택성이 낮습니다(나쁩니다).

    레코드가 10개가 있는데 이를 구분하는 기준을 성별로 했다고 가정하고 남과 여가 각각 5명씩이라면

    성별의 남 5개, 여 5개가 됩니다.

    하지만 이름으로 구분할 경우 중복되는 이름이 없다면 각 이름별로 하나의 레코드만 갖게 됩니다.

    성별로 구분하는 경우가 키 값당 더 많은 레코드를 갖게 됩니다. 이런 경우 분포가 높아 낮은 선택성을 갖습니다.

    이름은 이와 달라 분포도가 낮아 높은 선택성을 갖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