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여러가지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조회수
70
작성일
2018-08-10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2권 78페이지, 2권 115페이지 create view의 예제에 모두 뷰의 정의 조건(where문)이 있는데

115페이지 4.create view의 예제에서는 별다른 요구가 없어도 'with check option'을 썼는데

78페이지 create view 예제에서는 왜 'with check option'을 안쓴건가요?

2.

drop view에 대해 2권 80페이지 에서는 cascade, restrict에 대한 조건이 []괄호인데

2권 115페이지에서는 {}괄호입니다. 어느것이 맞나요?

3.

74섹션의 기출 따라잡기 1번문제에 WITH CHECK OPTION을 쓰면 안되나요?

4.

75섹션 내장 SQL 예문에서 'EXEC SQL' 다음에는 BEGIN / END DECLARE SECTION로만 써야하나요?

5.

2권 119페이지 내장 SQL 예문에서는 2권 118페이지 예문에서와 다르게 SQLSTATE 변수를 선언하지 않는데 왜그런건가요?

6.

(1) 75섹션 기출 따라잡기에서 선언된 변수가 SQLSTATE 밖에 없는데 왜그런건가요?

(2) 앞에서는 SQLSTATE[5]고 기출 따라잡기 문제에서는 SQLSTATE[6]이던데 어느것이 맞나요?

C언어에서는 널문자를 포함해야하므로 [6]이 맞는거 아닌가요?

(3) 75섹션 기출 따라잡기에서 중괄호 { 는 2개인데 } 는 1개입니다. }도 2개여야하는거 아닌가요?

7.

(1) 76섹션 기출 따라잡기 예문의 답지에서 4번에서의 WHERE문과 10번에서의 INTO문에 변수가 나오는데 왜 변수앞에 콜론(:) 표시를 안한건가요?

75섹션과 다르게 EXEC SQL문이 아니어서 콜론을 안쓴건가요?

(2)

76섹션 기출따라잡기에서 괄호 6번 정답이 SET인데,

UPDATE문이 없는데 변수의 값을 초기화 시키거나 변화시킬 때 SET 구문을 쓰는 것이 가능한가요?

답변
2018-08-16 09:44:20

안녕하세요.

1.

2권 78페이지, 2권 115페이지 create view의 예제에 모두 뷰의 정의 조건(where문)이 있는데

115페이지 4.create view의 예제에서는 별다른 요구가 없어도 'with check option'을 썼는데

78페이지 create view 예제에서는 왜 'with check option'을 안쓴건가요?

[답변]

뷰의 정의 조건을 위배하면 실행을 거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라 예제에 별다른 요구가 없어도 기술된 부분이 있었는데, 실제 시험에서는 명확하게 'With Check Option'을 사용해야 하는 조건이 문제에 제시된 경우에만 사용하면 됩니다.

2.

drop view에 대해 2권 80페이지 에서는 cascade, restrict에 대한 조건이 []괄호인데

2권 115페이지에서는 {}괄호입니다. 어느것이 맞나요?

[답변]

대괄호나 중괄호 모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의미합니다.

3.

74섹션의 기출 따라잡기 1번문제에 WITH CHECK OPTION을 쓰면 안되나요?

[답변]

앞선 답변과 같이 시험에서는 명확하게 조건이 문제에 제시된 경우 사용하면 됩니다.

4.

75섹션 내장 SQL 예문에서 'EXEC SQL' 다음에는 BEGIN / END DECLARE SECTION로만 써야하나요?

[답변]

호스트 언어 C에서의 내장 SQL을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내장 SQL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이 시험에 나오지는 않습니다. 내장 SQL의 개념이나 특징 위주로 학습하세요.

5.

2권 119페이지 내장 SQL 예문에서는 2권 118페이지 예문에서와 다르게 SQLSTATE 변수를 선언하지 않는데 왜그런건가요?

6.

(1) 75섹션 기출 따라잡기에서 선언된 변수가 SQLSTATE 밖에 없는데 왜그런건가요?

[답변]

SQL문의 일부를 예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사용되는 변수는 예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앞에서는 SQLSTATE[5]고 기출 따라잡기 문제에서는 SQLSTATE[6]이던데 어느것이 맞나요?

C언어에서는 널문자를 포함해야하므로 [6]이 맞는거 아닌가요?

[답변]

대괄호 안의 숫자는 크기를 의미합니다. 특별하게 차이를 둔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변수의 크기는 예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3) 75섹션 기출 따라잡기에서 중괄호 { 는 2개인데 } 는 1개입니다. }도 2개여야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아래에서 두 번째 줄인

WHERE ( ⑦ ) employeeCur;

뒤에 }가 있어야 합니다.

7.

(1) 76섹션 기출 따라잡기 예문의 답지에서 4번에서의 WHERE문과 10번에서의 INTO문에 변수가 나오는데 왜 변수앞에 콜론(:) 표시를 안한건가요?

75섹션과 다르게 EXEC SQL문이 아니어서 콜론을 안쓴건가요?

[답변]

호스트 변수 앞에 콜론(:)이 붙는 경우는 내장 SQL문에서 사용하는 호스트 변수입니다.

75섹션은 내장SQL입니다.

(2)

76섹션 기출따라잡기에서 괄호 6번 정답이 SET인데,

UPDATE문이 없는데 변수의 값을 초기화 시키거나 변화시킬 때 SET 구문을 쓰는 것이 가능한가요?

[답변]

여기서 SET은 UPDATE문의 SET이 아니라

특정 변수의 값을 초기화하거나 계산된 값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8-08-16 09:44:20

    안녕하세요.

    1.

    2권 78페이지, 2권 115페이지 create view의 예제에 모두 뷰의 정의 조건(where문)이 있는데

    115페이지 4.create view의 예제에서는 별다른 요구가 없어도 'with check option'을 썼는데

    78페이지 create view 예제에서는 왜 'with check option'을 안쓴건가요?

    [답변]

    뷰의 정의 조건을 위배하면 실행을 거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라 예제에 별다른 요구가 없어도 기술된 부분이 있었는데, 실제 시험에서는 명확하게 'With Check Option'을 사용해야 하는 조건이 문제에 제시된 경우에만 사용하면 됩니다.

    2.

    drop view에 대해 2권 80페이지 에서는 cascade, restrict에 대한 조건이 []괄호인데

    2권 115페이지에서는 {}괄호입니다. 어느것이 맞나요?

    [답변]

    대괄호나 중괄호 모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의미합니다.

    3.

    74섹션의 기출 따라잡기 1번문제에 WITH CHECK OPTION을 쓰면 안되나요?

    [답변]

    앞선 답변과 같이 시험에서는 명확하게 조건이 문제에 제시된 경우 사용하면 됩니다.

    4.

    75섹션 내장 SQL 예문에서 'EXEC SQL' 다음에는 BEGIN / END DECLARE SECTION로만 써야하나요?

    [답변]

    호스트 언어 C에서의 내장 SQL을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내장 SQL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이 시험에 나오지는 않습니다. 내장 SQL의 개념이나 특징 위주로 학습하세요.

    5.

    2권 119페이지 내장 SQL 예문에서는 2권 118페이지 예문에서와 다르게 SQLSTATE 변수를 선언하지 않는데 왜그런건가요?

    6.

    (1) 75섹션 기출 따라잡기에서 선언된 변수가 SQLSTATE 밖에 없는데 왜그런건가요?

    [답변]

    SQL문의 일부를 예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사용되는 변수는 예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앞에서는 SQLSTATE[5]고 기출 따라잡기 문제에서는 SQLSTATE[6]이던데 어느것이 맞나요?

    C언어에서는 널문자를 포함해야하므로 [6]이 맞는거 아닌가요?

    [답변]

    대괄호 안의 숫자는 크기를 의미합니다. 특별하게 차이를 둔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변수의 크기는 예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3) 75섹션 기출 따라잡기에서 중괄호 { 는 2개인데 } 는 1개입니다. }도 2개여야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아래에서 두 번째 줄인

    WHERE ( ⑦ ) employeeCur;

    뒤에 }가 있어야 합니다.

    7.

    (1) 76섹션 기출 따라잡기 예문의 답지에서 4번에서의 WHERE문과 10번에서의 INTO문에 변수가 나오는데 왜 변수앞에 콜론(:) 표시를 안한건가요?

    75섹션과 다르게 EXEC SQL문이 아니어서 콜론을 안쓴건가요?

    [답변]

    호스트 변수 앞에 콜론(:)이 붙는 경우는 내장 SQL문에서 사용하는 호스트 변수입니다.

    75섹션은 내장SQL입니다.

    (2)

    76섹션 기출따라잡기에서 괄호 6번 정답이 SET인데,

    UPDATE문이 없는데 변수의 값을 초기화 시키거나 변화시킬 때 SET 구문을 쓰는 것이 가능한가요?

    [답변]

    여기서 SET은 UPDATE문의 SET이 아니라

    특정 변수의 값을 초기화하거나 계산된 값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