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50섹션 순서도 여러가지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413
조회수
84
작성일
2018-07-19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순서도 괄호에 기입할 때 DATA.PM[K] 를 PM[K]라고 기입하면 틀렸다고 하나요?

2.

실제 기출문제를 찾아봤는데

처리조건과 출력양식에 화폐단위를 ,(쉼표)를 생략하고 제시했던데

순서도 빈 괄호에 답을 기입할 때 50,000 이라고 기입하면 틀리나요?

3.

DATA.PM 배열에 요소를 저장하기 위해 K 값을 증가시켜서 K = 10이 되었을 때

DATA.PM[10] = 0

T = 0

M = 1/2 , SW = 1 인데 636페이지 디버깅표에는 생략되어있는거 같은데, 각 변수 값이 맞죠?

4.

별책(3권) 68페이지 처리조건에서

'본 문제에서 "/" 연산자는 나누기 연산의 몫을 구하는 연산자로 정의한다' 는 조건이 있었는데

원래 순서도에서 "/" 연산자는 단순 나눗셈인데

처리조건에서 원래의 연산자 정의와 다르게 정의를 했으면 별도의 처리조건을 따라가는게 맞죠?

본 책 410페이지에서는 그 처리조건이 없으므로 원래의 연산자 정의로 문제를 풀면 되죠?

답변
2018-07-20 09:56:07

안녕하세요.

1)

교재와 같이 변수 설명에 구조체 변수라고 명시가 된 경우

구조체 변수를 지정할 때는 DATA.PM[K]과 같이 구조체명과 함께 변수명을 기술해야 합니다.

2)

순서도에서는 50000이든 50,000이든 관계가 없습니다.

단 코드에서는 코드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콤마(,) 없이 50000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둘을 구분하기 혼동된다면 금액이나 숫자는 천단위 구분자 없이 50000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3)

예,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반복 변수들이 이후에 사용된다면 변수의 값을 적어 변화를 확인하지만

사용되지 않는다면 생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디버깅표는 채점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므로 본인의 필요에 따라 작성 여부를 판단하면 됩니다.

4)

예, 맞습니다.

처리조건에 특정 연산자에 대한 사용 방법이 제시된 경우 제시된 방법에 따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본래 연산자의 기능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8-07-20 09:56:07

    안녕하세요.

    1)

    교재와 같이 변수 설명에 구조체 변수라고 명시가 된 경우

    구조체 변수를 지정할 때는 DATA.PM[K]과 같이 구조체명과 함께 변수명을 기술해야 합니다.

    2)

    순서도에서는 50000이든 50,000이든 관계가 없습니다.

    단 코드에서는 코드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콤마(,) 없이 50000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둘을 구분하기 혼동된다면 금액이나 숫자는 천단위 구분자 없이 50000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3)

    예,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반복 변수들이 이후에 사용된다면 변수의 값을 적어 변화를 확인하지만

    사용되지 않는다면 생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디버깅표는 채점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므로 본인의 필요에 따라 작성 여부를 판단하면 됩니다.

    4)

    예, 맞습니다.

    처리조건에 특정 연산자에 대한 사용 방법이 제시된 경우 제시된 방법에 따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본래 연산자의 기능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