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열
C언어, JAVA에서 정수형 배열을 선언한 후, 배열의 시작위치가 0이던데
플로차트에서는 배열의 시작위치가 1인가요?
2.
1권 190쪽
big=15, small=12인 경우 mok = big / small = 1.xxx이지만 mok 변수가 정수형 변수로 선언됐으므로
mok = 1이라 하고 따로 (int)함수를 안써도 되나요?
3.
1권 196쪽
e = (int) sqrt (b); 에서 변수 b, e가 정수형으로 선언됐는데 sqrt (b)앞에 (int)함수를 붙여줘야하나요?
수식이 나눗셈인 경우에는 (int)를 안붙여준거같은데 나눗셈의 경우는 (int)함수가 없어도 자동으로 정수화 되나요?
4.
1권 195, 196쪽
e를 정수선언하지 않고 실수(float)로 선언해도 문제자체에는 지장없죠?
안녕하세요.
1)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 언어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 순서도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시작 위치를 제시합니다.
이전에는 별도의 조건없이 묵시적으로 1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순서도의 처리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시험 중 순서도에도 배열의 시작 위치를 0부터 시작하도록 제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교재에서는 특별히 처리조건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 순서도는 배열의 위치를 1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배열의 경우 처리조건으로 배열의 시작 위치를 제시할 수 있으니 반드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확인한 후 답안을 작성하면 됩니다.
순서도와 달리 코드 문제는 C와 JAVA가 추가되면서 C와 JAVA는 언어의 특성상 배열의 위치를 0부터 시작합니다.
이와 구분을 하기 위해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시작 위치를 처리조건으로 언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반드시 확인하고 작업을 수행하세요. 혹 배열의 시작 위치가 제시되지 않았다면
배열의 첨자를 기억하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 그리고 처음 사용될 때의 값으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판단하면 됩니다.
2)
변수가 선언될 때 형이 지정되며 해당 변수에 저장되는 값은 변수 선언시 지정된 형에 따라 값이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정수형으로 선언된 변수에는 정수 값이 저장됩니다.
3)
sqrt() 함수의 결과는 실수형인데, 이 값이 저장되는 e가 정수형 변수이므로 정수로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그러므로
e = (int)sqrt(b);
e = sqrt(b);
나 모두 e에는 정수값이 저장됩니다.
4)
예, 결과는 동일하게 산출될 수 있지만 형 변환 과정에 대한 경고가 발생합니다.
단, sqrt(b) 앞에 (int)가 붙은 경우 정수형의 값을 float에 저장하면서 형의 변환에 따른 경고가 발생합니다.
sqrt(b) 앞에 (int)를 제외해도 sqrt(b)의 결과가 배정도 실수인데, 이를 float인 단정도 실수에 저장하면서 형의 변환에 따른 경고가 발생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6-25 10:46:01
안녕하세요.
1)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 언어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 순서도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시작 위치를 제시합니다.
이전에는 별도의 조건없이 묵시적으로 1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순서도의 처리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시험 중 순서도에도 배열의 시작 위치를 0부터 시작하도록 제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교재에서는 특별히 처리조건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 순서도는 배열의 위치를 1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배열의 경우 처리조건으로 배열의 시작 위치를 제시할 수 있으니 반드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확인한 후 답안을 작성하면 됩니다.
순서도와 달리 코드 문제는 C와 JAVA가 추가되면서 C와 JAVA는 언어의 특성상 배열의 위치를 0부터 시작합니다.이와 구분을 하기 위해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시작 위치를 처리조건으로 언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반드시 확인하고 작업을 수행하세요. 혹 배열의 시작 위치가 제시되지 않았다면
배열의 첨자를 기억하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 그리고 처음 사용될 때의 값으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판단하면 됩니다.
2)
변수가 선언될 때 형이 지정되며 해당 변수에 저장되는 값은 변수 선언시 지정된 형에 따라 값이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정수형으로 선언된 변수에는 정수 값이 저장됩니다.
3)
sqrt() 함수의 결과는 실수형인데, 이 값이 저장되는 e가 정수형 변수이므로 정수로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그러므로
e = (int)sqrt(b);
e = sqrt(b);
나 모두 e에는 정수값이 저장됩니다.
4)
예, 결과는 동일하게 산출될 수 있지만 형 변환 과정에 대한 경고가 발생합니다.
단, sqrt(b) 앞에 (int)가 붙은 경우 정수형의 값을 float에 저장하면서 형의 변환에 따른 경고가 발생합니다.
sqrt(b) 앞에 (int)를 제외해도 sqrt(b)의 결과가 배정도 실수인데, 이를 float인 단정도 실수에 저장하면서 형의 변환에 따른 경고가 발생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