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권 92페이지
기출따라잡기 문제에 함수선언에서 함수 이름앞에 'int'가 있는거는 무슨의미인가요? void랑은 다른의미같은데요
또 문제 6에서 main()함수 안에 'void'를 쓴 것은 무슨의미인가요?
2. 1권 92페이지
문제 3에서 void prnt(int *x, int *y, int *z)는
void prnt (x, y, z)
int *x, *y, *z; 와 같은 표현인가요?
여기서 int *x, *y, *z;는 필수인데
void prnt(int *x, int *y, int *z)라고 표현해도되나요?
3. 1권 84~85페이지
예문에서 출력 결과가 2줄이고 "\n"이 있으므로 출력 후 커서를 다음줄로 옮긴다면 답을 적을때 커서의 위치도 표현해야하나요?
4.
C언어는 ; 표시가 나오기 전까지 줄 구분하지 않고, 여러줄이어도 한 줄로 처리되나요?
또 main() {
}
처럼 {가 ) 다음줄에 나오는 것이 아니라 ) 바로 옆에 나와도 상관없나요?
5. 1권 98페이지
C프로그램 예문에서 main()함수 옆에 void가 쓰인건 처음보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또 쓰나 안쓰나 똑같나요?
6. 1권 99페이지
java 예문에서 int a[] 나 int[] a 모두 가능한 표현인가요?
또 예문에서 배열의 경우 %4d는 무슨 뜻인가요?
7. 1권 103페이지
예문 17번 문장에서 %b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1, 2)
함수에서 반환되는 값이 있을 때 그 반환되는 값의 자료형을 의미합니다.
int는 정수형으로 반환된다는 것이고
void는 반환되는 값이 없는 경우로 생략할 수 있습니다.
3)
서식 문자열에 \n 이 있고 2줄로 입력해야 한다면
커서의 위치를 표시할 필요는 없고
출력되는 값을 줄을 나눠서 2줄에 입력하면 됩니다.
4)
C언어에서는 하나의 실행문 마지막에 ;을 붙이도록 되어 있습니다.
; 을 만나기 전까지는 하나의 실행문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for(k=0; k a = b; 와 for(k=0; k a = b; 는 서로 다릅니다. 위 문장은 for문과 a=b; 문이 서로 독립적으로 따로 수행됩니다. 즉 for문이 완료된 후 a=b;가 수행됩니다. 아래쪽은 for문의 연장선상에 a=b;가 수행됩니다. 즉 for문이 수행될 때마다 a=b; 문도 함께 수행되는 것이죠. 5) void는 1,2)번 답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반환값이 없는 경우입니다. main() 함수는 일반적으로 반환값이 없으므로 void를 적거나 생략합니다. 6) java는 배열 표현시 변수명 뒤에 a[] 와 같이 적든 변수명 앞에 []a 와 같이 적는 동일하게 처리됩니다. 7) %b는 boolean 변수를 출력하는 서식 지정자입니다. 조건의 결과가 참이면 true가 저장되고 조건의 결과가 거짓이면 false가 저장되며, 그 값을 출력하는 용도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6-12 09:19:24
안녕하세요.
1, 2)
함수에서 반환되는 값이 있을 때 그 반환되는 값의 자료형을 의미합니다.
int는 정수형으로 반환된다는 것이고
void는 반환되는 값이 없는 경우로 생략할 수 있습니다.
3)
서식 문자열에 \n 이 있고 2줄로 입력해야 한다면
커서의 위치를 표시할 필요는 없고
출력되는 값을 줄을 나눠서 2줄에 입력하면 됩니다.
4)
C언어에서는 하나의 실행문 마지막에 ;을 붙이도록 되어 있습니다.
; 을 만나기 전까지는 하나의 실행문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for(k=0; k
a = b;
와
for(k=0; k
a = b;
는 서로 다릅니다.
위 문장은 for문과 a=b; 문이 서로 독립적으로 따로 수행됩니다.
즉 for문이 완료된 후 a=b;가 수행됩니다.
아래쪽은 for문의 연장선상에 a=b;가 수행됩니다.
즉 for문이 수행될 때마다 a=b; 문도 함께 수행되는 것이죠.
5)
void는 1,2)번 답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반환값이 없는 경우입니다.
main() 함수는 일반적으로 반환값이 없으므로 void를 적거나 생략합니다.
6)
java는 배열 표현시 변수명 뒤에 a[] 와 같이 적든 변수명 앞에 []a 와 같이 적는 동일하게 처리됩니다.
7)
%b는 boolean 변수를 출력하는 서식 지정자입니다.
조건의 결과가 참이면 true가 저장되고
조건의 결과가 거짓이면 false가 저장되며,
그 값을 출력하는 용도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