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권 52페이지
C언어에서 2byte를 갖는 정수형 변수A를 선언한다고 했을 때 어떻게 코딩해야하나요?
short A; 인가요 아니면 short int A; 인가요?
표에는 short로만 써있는데 예시부분에는 short int로 써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 1권 63페이지 5번문제
(1) 코드에서 a=123456789.0e-5f에서 수치 뒤에 f가 왜 붙는건가요? 지수형이 아닌 단정도형 실수만 뒤에 f가 붙는거 아닌가요?
(2) 정답 1.234568e+03을 1.234568e+3이라고 써도 무방한가요?
(3) 만약 printf에서 %6.1f가 아닌 %8.1f라고 해도 정답은 공백이 앞에 더 생길 뿐 변함이 없는거죠?
그러니까 원래 a에 1234.567890이 저장되어있으니까 %8.1f는 123456.8이 아닌거죠?
(4) 답을 소수 6째자리까지 표시해야하는데 주어진 수치의 소수점이 더 길 경우, 답안에 반올림해서 적는게 맞는거죠?
3. 1권 64페이지
순서도에서 조건 판단문 기호에서 %기호는 못쓰는거 아닌가요? 섹션 5에서 나머지를 뜻하는 %는 순서도에는 없는것으로 나와있던데요
안녕하세요.
1)
short 형을 코딩할 때 short int 또는 int를 생략하고 short 이라고 선언하면 됩니다.
2)
지수형의 값을 단정도 실수 변수에 저장하는 형태입니다.
3)
1.234568e+03은 C언어에서 지수값을 출력할 때 표기되는 형태입니다.
1.234568e+3으로 작성해도 틀리지는 않겠지만 혹시라도 문제에서 요구한 답안의 형태가 지수형태라면 교재와 같이 03의 형태로 작성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4)
예, VV1234.6 과 같이 앞에 공백만 추가됩니다.
5)
주어진 자리수 바로 아래에서 반올림을 하면 되니다.
6)
%는 순서도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나머지를 구할 때 별도의 수식이나 MOD 함수가 제시된 경우 MOD 함수를 이용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6-07 09:34:27
안녕하세요.
1)
short 형을 코딩할 때 short int 또는 int를 생략하고 short 이라고 선언하면 됩니다.
2)
지수형의 값을 단정도 실수 변수에 저장하는 형태입니다.
3)
1.234568e+03은 C언어에서 지수값을 출력할 때 표기되는 형태입니다.
1.234568e+3으로 작성해도 틀리지는 않겠지만 혹시라도 문제에서 요구한 답안의 형태가 지수형태라면 교재와 같이 03의 형태로 작성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4)
예, VV1234.6 과 같이 앞에 공백만 추가됩니다.
5)
주어진 자리수 바로 아래에서 반올림을 하면 되니다.
6)
%는 순서도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나머지를 구할 때 별도의 수식이나 MOD 함수가 제시된 경우 MOD 함수를 이용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