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p39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에 대한 재 질문인데요.
1:1 관계에서의 외래키는 기본키라고 하셨는데요.
p35에 보면, 예제 1의 릴레이션 스키마에서 1:1 관계인데도, 교수 릴레이션의 기본키가 과목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같지 않은데요, 과목 릴레이션에서 교수번호에 밑줄이 그어져 있지도 않고요.
이 경우는 왜 그런건지요??
안녕하세요.
1:1 관계의 외래키는 서로가 기본키입니다. 라고 답변을 드려 혼동이 되신 것 같습니다.
해당 부분에서 1:1 관계가 기본키이면서 외래키이므로 그렇게 답변을 드린것인데,
좀 더 정확히 얘기하면 1:1 관계의 외래키는 기본키가 될 수도 있다고 답변을 드려야 했는데, 그렇지 못해 학습에 혼동을 드린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외래키로 지정되는 속성이 기준이 될 때 기본키가 아니라 일반 속성인 경우 그 속성과의 관계는 1:N이 됩니다.
하지만 35쪽과 같이 외래키로 지정된 속성이 아니라 교수번호와 과목번호를 기준으로 관계를 표현할 때는 1:1의 관계라고 하게 됩니다.
결국 관계의 표현은 표현하려는 속성을 기준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39쪽은 학번 속성을 기준으로 각 테이블을 1:1 관계로 설정한 것이고
35쪽은 교수번호와 과목번호 속성을 기준으로 1:1 관계를 설정한 것입니다.
39쪽과 같이 학번 속성을 기준으로 기본키이면서 외래키로 설정되면 학번에 종속된 이름, 학과 속성이 각각의 테이블, 즉 재학생, 휴학생, 졸업생 테이블의 부분집합으로 포함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5-24 10:05:11
안녕하세요.
1:1 관계의 외래키는 서로가 기본키입니다. 라고 답변을 드려 혼동이 되신 것 같습니다.
해당 부분에서 1:1 관계가 기본키이면서 외래키이므로 그렇게 답변을 드린것인데,좀 더 정확히 얘기하면 1:1 관계의 외래키는 기본키가 될 수도 있다고 답변을 드려야 했는데, 그렇지 못해 학습에 혼동을 드린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외래키로 지정되는 속성이 기준이 될 때 기본키가 아니라 일반 속성인 경우 그 속성과의 관계는 1:N이 됩니다.
하지만 35쪽과 같이 외래키로 지정된 속성이 아니라 교수번호와 과목번호를 기준으로 관계를 표현할 때는 1:1의 관계라고 하게 됩니다.
결국 관계의 표현은 표현하려는 속성을 기준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39쪽은 학번 속성을 기준으로 각 테이블을 1:1 관계로 설정한 것이고
35쪽은 교수번호와 과목번호 속성을 기준으로 1:1 관계를 설정한 것입니다.39쪽과 같이 학번 속성을 기준으로 기본키이면서 외래키로 설정되면 학번에 종속된 이름, 학과 속성이 각각의 테이블, 즉 재학생, 휴학생, 졸업생 테이블의 부분집합으로 포함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