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순서도는 배열의 위치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0 또는 1로 시작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실제 시험에서는 처리조건에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확인한 후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혹 처리조건에 배열의 위치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 배열 위치로 사용되는 변수의 초기값과 처음 값을 파악하여 배열의 시작 위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교재에서 순서도는 별도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시작 위치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1부터 시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203쪽의 A 배열은
A[1] 0
A[2] 1
A[3] 2
.
.
A[15] E
A[16] F
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실제 배열의 위치가 저장된 값의 차이가 1이므로
A[E+1]과 같이 지정하여
E가 1일 때 1을 출력하기 위해 A[E+1]을 지정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5-24 10:15:44
안녕하세요.
순서도는 배열의 위치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0 또는 1로 시작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실제 시험에서는 처리조건에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확인한 후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혹 처리조건에 배열의 위치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 배열 위치로 사용되는 변수의 초기값과 처음 값을 파악하여 배열의 시작 위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교재에서 순서도는 별도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시작 위치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1부터 시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203쪽의 A 배열은
A[1] 0
A[2] 1
A[3] 2
.
.
A[15] E
A[16] F
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실제 배열의 위치가 저장된 값의 차이가 1이므로
A[E+1]과 같이 지정하여
E가 1일 때 1을 출력하기 위해 A[E+1]을 지정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