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정도 책을 풀다보니 공통적으로 드는 의문점이 몇가지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1. 플로차트 빈칸이 나머지 구하는 걸 요구할 때,
NMG = MOD(A,B) 이렇게 하는거랑 NMG = i - MOK * A 이렇게 하는거랑 배점의 차이가 있나요?
앞에서 MOK을 구했든 안구했든 상관없이 MOD를 써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예를 들면 213p (1) 같은 경우 )
---------------------------------------
2. 가끔 플로차트 작성하다보면 두 개의 빈칸에 >, < 를 각각 넣어야 할 때,
=를 어디에 표시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 로 하는 경우와 >, <= 에 배점의 차이가 있을까요?
( 예를 들면 216p, (2),(3) 같은 경우 )
---------------------------------------
3. 코드 작성 시,
do { . . . a++ . . .} while(a<=10)
do { . . . a++ . . .} while(a<11)
이 두 코드 실행결과가 모두 같은데, 저 뒤의 while 조건문을 작성 할 때 두 개의 배점 차이가 있을까요?
---------------------------------------
4. 227p (4)번에 답을 1이라고 적으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1)
MOD는 사용법에 따라 두 가지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MOD(A, B) 혹은 A MOD B로 사용되는데,
MOD 함수가 사용하는 경우 문제의 처리조건에 제시된 MOD 사용법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2)
=의 위치에 대한 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어느 곳에 배치하든 관계가 없습니다.
문제에 제시된 처리조건들을 꼼꼼히 살펴서 답안을 작성하면 됩니다.
3)
결과가 동일한 경우 모두 맞게 채점됩니다.
4)
결과가 동일하므로 맞습니다.
단 실제 시험에서 답안 작성 조건으로 변수를 사용하라고 제시된다면 변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5-23 09:20:23
안녕하세요.
1)
MOD는 사용법에 따라 두 가지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MOD(A, B) 혹은 A MOD B로 사용되는데,
MOD 함수가 사용하는 경우 문제의 처리조건에 제시된 MOD 사용법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2)
=의 위치에 대한 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어느 곳에 배치하든 관계가 없습니다.
문제에 제시된 처리조건들을 꼼꼼히 살펴서 답안을 작성하면 됩니다.
3)
결과가 동일한 경우 모두 맞게 채점됩니다.
4)
결과가 동일하므로 맞습니다.
단 실제 시험에서 답안 작성 조건으로 변수를 사용하라고 제시된다면 변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