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class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hap = 0;
for(i = 1; i <= 10; ++i, hap+= i);
System.out.printf("%d, %d\n", i, hap);
}
}
에서 for문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디버깅 과정에서 i가 1일때 왜 hap+=i 연산을 안하고
i가 2일때 hap+=i연산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for문에서는 먼저 초기값을 가지고 종료 기준값과 비교한 후 조건이 맞으면 반복문을 바로 수행한 후 증가값을 적용합니다.
아래쪽 for문에서
i는 1인 상태로 i<=10 조건에 만족하므로 for문을 바로 수행합니다. 수행할 for문 안쪽 내용이 없으므로 for문의 회전수만 증가합니다.
그래서 i가 1인 상태로 for문이 한 번 회전했을 때 i는 1, hap은 0입니다.
이제 for문이 한 번 회전한 후 증가값(++i, hap += i)을 수행하여, i는 2가되고 hap도 2가 됩니다.
종료 기준값(i<=10)을 만족하므로 for문을 수행하여 for문의 회전수를 증가합니다.
그래서 i가 2인 상태로 for문이 두 번 회전했을 때 i는 2, hap은 2입니다.
위의 내용을 기준으로 for문의 반복 과정을 이해한 후 다시 한 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5-16 09:26:02
안녕하세요.
for문에서는 먼저 초기값을 가지고 종료 기준값과 비교한 후 조건이 맞으면 반복문을 바로 수행한 후 증가값을 적용합니다.
아래쪽 for문에서
i는 1인 상태로 i<=10 조건에 만족하므로 for문을 바로 수행합니다. 수행할 for문 안쪽 내용이 없으므로 for문의 회전수만 증가합니다.
그래서 i가 1인 상태로 for문이 한 번 회전했을 때 i는 1, hap은 0입니다.
이제 for문이 한 번 회전한 후 증가값(++i, hap += i)을 수행하여, i는 2가되고 hap도 2가 됩니다.
종료 기준값(i<=10)을 만족하므로 for문을 수행하여 for문의 회전수를 증가합니다.
그래서 i가 2인 상태로 for문이 두 번 회전했을 때 i는 2, hap은 2입니다.
위의 내용을 기준으로 for문의 반복 과정을 이해한 후 다시 한 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