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2회차 실기까지 약 2달동안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공부를 어떤 순서대로 해야할지 감이 안 잡혀서 질문합니다~
우선 한 달 동안 알고리즘 1회독 + 4,5 과목 암기 하고,
남은 한 달 동안 알고리즘 복습 + 2,3 과목 공부 + 4,5과목 복습
하려고 하는 데 비전공자 기준으로 어떤 순서대로 공부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과목 당 구체적인 기간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학습 기간은 주관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학습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간보다는 학습 방법을 중점으로 참고될 수 있는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정보처리 실기를 준비하는 90% 정도가 비 전공자입니다.
그러므로 대부분 처음 접하는 상태로 시작합니다. 특히 알고리즘의 경우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에 비유를 합니다.
어려운 이유가 낯설기 때문이기에 무조건 시간을 많이 할애해서 정독이 아니더라도 용어들이 익숙해 지도록 충분히 읽을 것을 권합니다. 그런 다음 어느정도 익숙해 지면 그때부터는 정독을 하되 매 섹션마다 제시된 알고리즘의 이해를 확실히 이해한 후 이해한 내용과 순서도의 흐름을 연관지어서 이해한 내용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파악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C나 JAVA는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는 것으로 내용을 이해한 후 2장에 수록된 모든 문제들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보아야 합니다. 동일한 유형이라고 수치를 달리하여 출제될 수 있으므로 값을 변경하면서 풀어보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앞선 과목에 비해 필기때 학습을 해봤던 내용이라 낯설음의 단계가 알고리즘보다는 덜 할 수 있습니다.
시험에 나오는 유형이 SQL 부분을 제외하고는 필기와 유사하게 개념을 파악하면 맞출 수 있는 문제이므로 각 용어들의 개념은 암기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SQL 특히 DML 부분은 직접 구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해 봐야 합니다.
업무프로세스는 용어는 정확히 암기하고 나머지 지문을 통해 답을 찾는 문제는 별도의 준비가 없어도, 시험 문제의 지문을 꼼꼼히 읽어 답을 찾는 것이므로, 평상시 꼼꼼히 읽어 학습하는 습관을 들이면 됩니다.
신기술 용어는 다른 과목들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틈틈히 일정하게 시간을 두고 꾸준히 학습을 하고, 시험이 가까워 지면, 인터넷 상에서 최신 신기술 관련 용어들도 찾아 내용을 파악해 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실기 과목은 단시간에 끝낸다는 오기보다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확실히 준비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또한 서로 다른 환경에서 준비하는 다양한 수험생들의 수기를 통해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왼쪽의 커뮤니티 - 합격전략/수기 코너를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5-02 09:27:49
안녕하세요.
학습 기간은 주관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학습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간보다는 학습 방법을 중점으로 참고될 수 있는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정보처리 실기를 준비하는 90% 정도가 비 전공자입니다.
그러므로 대부분 처음 접하는 상태로 시작합니다. 특히 알고리즘의 경우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에 비유를 합니다.
어려운 이유가 낯설기 때문이기에 무조건 시간을 많이 할애해서 정독이 아니더라도 용어들이 익숙해 지도록 충분히 읽을 것을 권합니다. 그런 다음 어느정도 익숙해 지면 그때부터는 정독을 하되 매 섹션마다 제시된 알고리즘의 이해를 확실히 이해한 후 이해한 내용과 순서도의 흐름을 연관지어서 이해한 내용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파악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시면 됩니다.C나 JAVA는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는 것으로 내용을 이해한 후 2장에 수록된 모든 문제들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보아야 합니다. 동일한 유형이라고 수치를 달리하여 출제될 수 있으므로 값을 변경하면서 풀어보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앞선 과목에 비해 필기때 학습을 해봤던 내용이라 낯설음의 단계가 알고리즘보다는 덜 할 수 있습니다.
시험에 나오는 유형이 SQL 부분을 제외하고는 필기와 유사하게 개념을 파악하면 맞출 수 있는 문제이므로 각 용어들의 개념은 암기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SQL 특히 DML 부분은 직접 구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해 봐야 합니다.
업무프로세스는 용어는 정확히 암기하고 나머지 지문을 통해 답을 찾는 문제는 별도의 준비가 없어도, 시험 문제의 지문을 꼼꼼히 읽어 답을 찾는 것이므로, 평상시 꼼꼼히 읽어 학습하는 습관을 들이면 됩니다.
신기술 용어는 다른 과목들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틈틈히 일정하게 시간을 두고 꾸준히 학습을 하고, 시험이 가까워 지면, 인터넷 상에서 최신 신기술 관련 용어들도 찾아 내용을 파악해 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실기 과목은 단시간에 끝낸다는 오기보다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확실히 준비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또한 서로 다른 환경에서 준비하는 다양한 수험생들의 수기를 통해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왼쪽의 커뮤니티 - 합격전략/수기 코너를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