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회전에서
Right가 4라는 것은 정렬 대상의 끝 부분이 4라는 것입니다.
정렬 방향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오른쪽 마지막 정렬 대상이 4라는 의미입니다.
즉 자료가 5건인 경우 1회전에서 마지막 다섯번째 자료는 네번째 자료와 비교하면 되므로
정렬 대상의 끝 부분은 4입니다. 4와 5가 비교해서 정렬되므로
그래서 right가 4인 것입니다.
2회전에서
Left가 2라는 것은 정렬 대상의 끝 부분이 2라는 것입니다.
정렬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왼쪽 마지막 정렬 대상이 2라는 의미입니다.
오른쪽부터 정렬이 진행되어 왼쪽 방향으로 진행될 때 배열의 두 번째 자료를 기준으로 하면
두 번째 자료는 첫 번째자료와 비교되므로 두 번째 자료까지만을 기준 대상으로 삼으면 됩니다.
그래서 Left가 2인 것입니다.
이런 원리로 정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Right와 Left 값을 이해하면서
디버깅 표에 제시된 각 변수들의 값 변화를 함께 연계하면서 살펴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4-12 10:29:35
안녕하세요.
1회전에서
Right가 4라는 것은 정렬 대상의 끝 부분이 4라는 것입니다.
정렬 방향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오른쪽 마지막 정렬 대상이 4라는 의미입니다.
즉 자료가 5건인 경우 1회전에서 마지막 다섯번째 자료는 네번째 자료와 비교하면 되므로
정렬 대상의 끝 부분은 4입니다. 4와 5가 비교해서 정렬되므로
그래서 right가 4인 것입니다.
2회전에서
Left가 2라는 것은 정렬 대상의 끝 부분이 2라는 것입니다.
정렬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왼쪽 마지막 정렬 대상이 2라는 의미입니다.
오른쪽부터 정렬이 진행되어 왼쪽 방향으로 진행될 때 배열의 두 번째 자료를 기준으로 하면
두 번째 자료는 첫 번째자료와 비교되므로 두 번째 자료까지만을 기준 대상으로 삼으면 됩니다.
그래서 Left가 2인 것입니다.
이런 원리로 정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Right와 Left 값을 이해하면서
디버깅 표에 제시된 각 변수들의 값 변화를 함께 연계하면서 살펴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