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문제은행 20번,
(a=0; a<10; ++a, hap+=a);
a=1일때 hap의 값은 1 인데,
문제 25번에서
(i=1; i<=10; ++i, hap+=i);
i=1 일때 hap의 값이 왜 0인지 너무 헷갈립니다.
i 탈출하는 값은 이해하겠으나 hap의 값을 구하는 디버깅과정에서
맨처음 주어진 i의 값이 0과 1이냐에 따라 hap값이 달라지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반복문은 우선 초기값을 가지고 반복문을 수행합니다.
a가 0일 때 반복문을 수행하는데, 수행할 실행문이 없으므로
a가 0일 때는 hap은 0입니다. 이후
바로 증가치를 적용합니다.
++a, hap+= a
그래서 a가 1이 된 상태로 hap에 1이 저장됩니다.
i가 1일 때 반복문을 수행하는데, 수행할 실행문이 없으므로
i가 1일 때 hap은 0입니다. 이후
바로 증가치를 적용합니다.
++i, hap += i
그래서 i가 2가 된 상태에서 hap에 2가 저장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4-09 09:31:07
안녕하세요.
반복문은 우선 초기값을 가지고 반복문을 수행합니다.
a가 0일 때 반복문을 수행하는데, 수행할 실행문이 없으므로
a가 0일 때는 hap은 0입니다. 이후
바로 증가치를 적용합니다.
++a, hap+= a
그래서 a가 1이 된 상태로 hap에 1이 저장됩니다.
i가 1일 때 반복문을 수행하는데, 수행할 실행문이 없으므로
i가 1일 때 hap은 0입니다. 이후
바로 증가치를 적용합니다.
++i, hap += i
그래서 i가 2가 된 상태에서 hap에 2가 저장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