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도에서는 i=0인데 c코드는 i=-1인게 계속 헷갈리네요.
순서도에서 A[1]이 c코드의 A[0]인건가요?
그러니까 순서도에서 A[i]와 C코드의 A[i-1]이랑 같다고 보면 되는건지요?
책 봐도 설명을 못찾겠어서 책이 잘못된건지 아니면 원래 그렇게 표시하는건지 너무 헷갈려요.
안녕하세요.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 언어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 순서도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시작 위치를 제시합니다.
이전에는 별도의 조건없이 묵시적으로 1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순서도의 처리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시험 중 순서도에도 배열의 시작 위치를 0부터 시작하도록 제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교재에서 순서도는 별도의 배열 위치 설명이 없는 경우 1부터 시작하도록 하였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반드시 처리조건에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확인한 후 풀이를 시작하면 됩니다.
이번부터 C와 JAVA가 추가되면서 C와 JAVA는 언어의 특성상 배열의 위치를 0부터 시작합니다.
이와 구분을 하기 위해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시작 위치를 처리조건으로 언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반드시 확인하고 작업을 수행하세요. 혹 배열의 시작 위치가 제시되지 않았다면
배열의 첨자를 기억하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 그리고 처음 사용될 때의 값으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판단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4-06 09:11:25
안녕하세요.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 언어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 순서도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시작 위치를 제시합니다.
이전에는 별도의 조건없이 묵시적으로 1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순서도의 처리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시험 중 순서도에도 배열의 시작 위치를 0부터 시작하도록 제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교재에서 순서도는 별도의 배열 위치 설명이 없는 경우 1부터 시작하도록 하였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반드시 처리조건에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확인한 후 풀이를 시작하면 됩니다.
이번부터 C와 JAVA가 추가되면서 C와 JAVA는 언어의 특성상 배열의 위치를 0부터 시작합니다.
이와 구분을 하기 위해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시작 위치를 처리조건으로 언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시된 배열의 시작 위치를 반드시 확인하고 작업을 수행하세요. 혹 배열의 시작 위치가 제시되지 않았다면
배열의 첨자를 기억하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 그리고 처음 사용될 때의 값으로 배열의 시작 위치를 판단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