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j= 0; j<= col - 1; j++)
{
L= col -(j+1) ;
e=(j-1) + col ;
L= col-(j+1) 에서 j+1 이 되는 이유가 배열이 0에서 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1를 해주는 것은 알겠는데 왜
e=(j-1) + col 에서 j-1에서 -1이 붙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1 이 되어야 하는것이 아닌가요???? 책 풀이를 봐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COL에 4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면
j가 0일 때
L = col - (j + 1) = 4 - (0 + 1) = 3
e = (j - 1) + col = (0 - 1) + 4 = 3
j가 1일 때
L = col - (j + 1) = 4 - (1 + 1) = 2
e = (j - 1) + col = (1 - 1) + 4 = 4
j가 2일 때
L = col - (j + 1) = 4 - (2 + 1) = 1
e = (j - 1) + col = (2 - 1) + 4 = 5
j가 3일 때
L = col - (j + 1) = 4 - (3 + 1) = 0
e = (j - 1) + col = (3 - 1) + 4 = 6
j가 4일 때
반복문을 빠져 나옵니다.
j-1을 수행하는 이유도 배열이 0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j+1을 하면 다른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3-23 10:59:35
안녕하세요.
COL에 4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면
j가 0일 때
L = col - (j + 1) = 4 - (0 + 1) = 3
e = (j - 1) + col = (0 - 1) + 4 = 3j가 1일 때
L = col - (j + 1) = 4 - (1 + 1) = 2
e = (j - 1) + col = (1 - 1) + 4 = 4j가 2일 때
L = col - (j + 1) = 4 - (2 + 1) = 1
e = (j - 1) + col = (2 - 1) + 4 = 5j가 3일 때
L = col - (j + 1) = 4 - (3 + 1) = 0
e = (j - 1) + col = (3 - 1) + 4 = 6j가 4일 때
반복문을 빠져 나옵니다.j-1을 수행하는 이유도 배열이 0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j+1을 하면 다른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