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문제에 BPM의 Lifecycle 문제가 나오는데, 그 문제의 답이
프로세스 설계 -> 시뮬레이션 -> 구현 -> 실행 -> 모니터링 -> 최적화 였고,
그래서 검색 포털에서 찾아보니 대부분의 국내 및 해외 사이트도 위와 같은 형태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에는
프로세스 정의 -> 실행 -> 측정 -> 분석 -> 모니터링으로 나오는데
이건 아무리봐도 6 Sigma에 가깝지 위의 Lifecycle과는 멀다고 생각하는데요.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
내용을 확인해 보니
교재에 수록된 내용은 경영학 기반에서 BPM의 관리 과정을 수록한 것이고
문제로 제시된 내용은 공학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최적화에 중점을 둔 일반적인 관리 단계의 과정을 제시한 것입니다.
공개된 문제가 그대로 다시 출제된다면 동일하게 답을 해야 하겠지만
별도의 조건이 없이 단순히 BMP의 관리 과정을 서술하라고 제시된다면 교재에 수록된 내용으로 작성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오히려 경영학 기반에서는 교재에 수록된 과정이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3-26 09:29:25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
내용을 확인해 보니
교재에 수록된 내용은 경영학 기반에서 BPM의 관리 과정을 수록한 것이고
문제로 제시된 내용은 공학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최적화에 중점을 둔 일반적인 관리 단계의 과정을 제시한 것입니다.
공개된 문제가 그대로 다시 출제된다면 동일하게 답을 해야 하겠지만
별도의 조건이 없이 단순히 BMP의 관리 과정을 서술하라고 제시된다면 교재에 수록된 내용으로 작성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오히려 경영학 기반에서는 교재에 수록된 과정이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