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칸 2번과 3번에 각각 몫과 나머지가 들어가야되는데요,
2번에는 문제에 따로 언급되어있지않던 int가 몫을 나타내는데 쓰였더라구요.
그럼 3번에도 MOD (T/M) 이라 써도 상관없는건가요?
그리고 같은 내용 C언어코드가 407쪽에 있는데요,
마찬가지로 여기 11번 동그라미에 나머지연산자 %를 이용해서,
t %= m 이라 써도 되는건가요?
제가 제대로 생각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별도의 처리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결과가 맞게 나오는 답안이면 모두 맞게 채점됩니다.
하지만 처리조건이 제시된 경우에는 처리 조건에 맞게 작성해야 합니다.
최근에 화폐계산 문제에서는 int 함수의 역할을 / 연산자가 수행한다는 조건이 제시되었습니다.
즉 / 연산자가 소수점 없이 정수만을 취한다는 조건인데 이런 경우 굳이 int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MOD 함수는 프로그램 언어에 따라 사용법이 달라지므로 MOD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처리조건에 MOD 함수의 사용법이 제시되고 있으니 제시된 사용법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C 언어 코드에서도 나머지를 구할 때 % 연산자를 사용해도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1-09 09:14:32
안녕하세요.
별도의 처리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결과가 맞게 나오는 답안이면 모두 맞게 채점됩니다.
하지만 처리조건이 제시된 경우에는 처리 조건에 맞게 작성해야 합니다.
최근에 화폐계산 문제에서는 int 함수의 역할을 / 연산자가 수행한다는 조건이 제시되었습니다.
즉 / 연산자가 소수점 없이 정수만을 취한다는 조건인데 이런 경우 굳이 int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MOD 함수는 프로그램 언어에 따라 사용법이 달라지므로 MOD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처리조건에 MOD 함수의 사용법이 제시되고 있으니 제시된 사용법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C 언어 코드에서도 나머지를 구할 때 % 연산자를 사용해도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