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상 답이 1번답 : MOD(N/J) 2번답 : 0 이라 되어 있는데,
제가 생각했을땐 1,2번답 서로 바꾸어서 풀어도 답이 되는것 같습니다.
1번답 : 0 2번답 : MOD(N/J) 이렇게 해도 문제가 풀리는 것 같아서 답을 반대로 적어도 상관 없는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순서도의 기호 중 직사각형은 처리기호이고 마름모는 판단기호입니다.
앞선 처리기호에서 R 변수에 어떤 값을 저장한다면 그값에서 처리가 진행되고
이후 마름모에서는 R 변수와 어떤 값을 비교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적합한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재와 같이 MOD(N,J)의 처리의 결과를 R에 우선 저장한 후 마름모 안에서는 R과 0을 비교하는 형태로 순서를 진행하는 적합합니다. 시행처에서도 순서도의 경우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답안을 작성하라는 조건이 제시되므로 이에 맞게 작성하는 것을 권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10-11 09:48:23
안녕하세요.
순서도의 기호 중 직사각형은 처리기호이고 마름모는 판단기호입니다.
앞선 처리기호에서 R 변수에 어떤 값을 저장한다면 그값에서 처리가 진행되고
이후 마름모에서는 R 변수와 어떤 값을 비교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적합한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재와 같이 MOD(N,J)의 처리의 결과를 R에 우선 저장한 후 마름모 안에서는 R과 0을 비교하는 형태로 순서를 진행하는 적합합니다. 시행처에서도 순서도의 경우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답안을 작성하라는 조건이 제시되므로 이에 맞게 작성하는 것을 권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