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나공 2017 기사 실기 책 다 풀고
기사 기출을 풀어보려고하는데요,
시나공에서 제공해주는 기출파일에
산업기사 기출도 같이 포함되어있는데
1. 2017년 바뀐기준으로 산업기사와 기사 실기 부분이 얼마나 비슷한지 궁금합니다
2. 시간이 남는다면 교재에있는것 외에 추가로 시나공에서 나눠주는 신기술 용어 약180페이지짜리 뽑아서 보는게 나을지
아니면 산업기사 기출을 참고해서 보는게 나을지 고견을 구합니다.
3. 2017년 3회대비 자료 질문입니다.
신기술 동향 용어에 2017년것은 뽑았는데,
2016년 것은 2017년 실기 교재의 신기술용어와 중복되는 것이 꽤 보이는데,
그것 외에도 자료가 추가로 더 수록되어있는것인가요?
시간적 제약이있고 어차피 다 봐야 전부 머릿속에 들어오는것도 아닌 노릇인데,
2013년 이전, 2014, 2015, 2016 이렇게 있는 것중
몇년치정도를 뽑아서 풀어보는게 좋을지 고견을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1)
범위는 동일하지만 난이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좀더 깊이 있고 좀더 생각해야 하는 내용이 기사로 출제되는 반면
산업기사에서는 기사에 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도 아직 시험이 2회 시행된 상태이므로 명확한 차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2, 3)
신기술은 최근의 내용 위주로 학습하되 많이 접해보지 않는 내용이므로 내용을 확실히 파악해둬야 합니다.
이전 기술들이나 필기에서 학습한 개념적인 내용들은 전산영어로 출제되므로 한 번씩은 학습했던 내용이므로 핵심 내용만 알고 있으면 풀 수 있는 문제 형태로 출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10-10 11:15:08
안녕하세요.
1)
범위는 동일하지만 난이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좀더 깊이 있고 좀더 생각해야 하는 내용이 기사로 출제되는 반면
산업기사에서는 기사에 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도 아직 시험이 2회 시행된 상태이므로 명확한 차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2, 3)
신기술은 최근의 내용 위주로 학습하되 많이 접해보지 않는 내용이므로 내용을 확실히 파악해둬야 합니다.
이전 기술들이나 필기에서 학습한 개념적인 내용들은 전산영어로 출제되므로 한 번씩은 학습했던 내용이므로 핵심 내용만 알고 있으면 풀 수 있는 문제 형태로 출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