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가 답을 적합한 용어를 쓰는 것이잖아요 그런데 이 적합한 용어의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1번에 답이 자기고과실시 인데 이것을 자기고과 라고 적으면 답으면 해주나요 아니면 부분점수를 주는 건가요
또 문제 7에 3번에 해외출장내부결제가 답인데 이 것을 내부결제 라고 적으면 답으로 해주나요?
2. 2권에 445쪽에서 문제 10번 답에서 GROUP BY 결제여부;
451쪽에 문제 6번에도 GROUP BY 이름
로 그룹을 지정해주는데 이걸 왜 해주는 건지 궁금합니다. 문제에서 그룹지정하라고 않나와 있어서요.
3. 2권 452쪽에 문제 10번 답에서 왜 답이 AS SELECT 강좌명, 강의실, 수강인원, 이름 이것이 왜 답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4. 2권 455쪽에 문제 4번에 이제 새로 정규화 해서 새로운 테이블이 만들게 되는데 여기 테이블명은 제가 알아서 만드는 건가요? 아니면 방법이 있는 건가요? ex) 납품목록, 주문
안녕하세요.
1)
최근에 출제된 문제들을 보면 특히 업무 프로세스에서 문맥에서 찾아서 내용을 적는 문제의 경우 답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보기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보기에 제시된 내용 중에서 찾아 작성하면 됩니다. 혹 보기가 제시되지 않는 경우 문맥상 답안이 포함된 명칭이면 맞게 채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결제여부를 기준으로 한 학생수를 구해야 하는데 결제여부가 미납 또는 완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기준이 되는 필드의 값이 여러 개 인 경우 그룹으로 지정해야
미납별
완납별
로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을 2개 이상 가진 조건을 적용하려면
자격증 테이블에서 이름별로 그룹을 적용하여 그 개수를 파악해야 합니다.
즉 김선달이 몇 번, 성춘향이 몇 번 장길산이 몇 번인 지 그룹을 지정해서 확인한 후 그 개수가 2개 이상인 사람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그룹을 지정한 것입니다.
3)
뷰를 정의할 때 AS문을 함께 사용합니다.
4)
문제에 작성할 테이블명이 제시되지 않으면 임의로 하셔도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10-10 10:52:57
안녕하세요.
1)
최근에 출제된 문제들을 보면 특히 업무 프로세스에서 문맥에서 찾아서 내용을 적는 문제의 경우 답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보기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보기에 제시된 내용 중에서 찾아 작성하면 됩니다. 혹 보기가 제시되지 않는 경우 문맥상 답안이 포함된 명칭이면 맞게 채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결제여부를 기준으로 한 학생수를 구해야 하는데 결제여부가 미납 또는 완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기준이 되는 필드의 값이 여러 개 인 경우 그룹으로 지정해야
미납별
완납별
로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을 2개 이상 가진 조건을 적용하려면
자격증 테이블에서 이름별로 그룹을 적용하여 그 개수를 파악해야 합니다.
즉 김선달이 몇 번, 성춘향이 몇 번 장길산이 몇 번인 지 그룹을 지정해서 확인한 후 그 개수가 2개 이상인 사람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그룹을 지정한 것입니다.
3)
뷰를 정의할 때 AS문을 함께 사용합니다.
4)
문제에 작성할 테이블명이 제시되지 않으면 임의로 하셔도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