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79페이지에서 소수의 개수를 구하기 내용에서 소수의 개수를 1 증가시킨다는 말이 이해가 잘 안되네요.
소수의 개수(J)<-소수의 개수+1 이 부분에서
개수 구하기에 동그라미 1번에서 2,3,5,7,9,11 총 소수가 6개면 6+1 이 되는 것인가요 ? ?
그렇게해서 총 소수의 개수 J가 마지막에 누적 되어 계산 되는 것인가요 ?
추가로 section 019 최대공약 , 최소공배수 구하기에서 183p 괄호 넣기 1번 답이 (<)와 2번에 답이 (>) 이것인데
1번 : A>B 2번 : A>B로 해도 상관 없나요 ?
안녕하세요.
1)
소수를 개수를 구하기 위해 소수의 개수가 저장될 변수를 0으로 초기화한 후
소수가 구해질 때마다 그 변수의 값에 +1을 하면 됩니다.
그러므로 소수의 개수를 1 증가시킨다고 하는 것이죠.
순서도의 6번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J를 0으로 초기화 시킵니다.
그런 다음 소수가 구해질 때마다 11번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J = J + 1을 통해 소수의 개수를 1씩 증가시킵니다.
2)
별도로 답안 작성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면
A:B로 제시된 경우 부등호 만을 이용하여 교재처럼 답안을 작성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10-10 09:19:38
안녕하세요.
1)
소수를 개수를 구하기 위해 소수의 개수가 저장될 변수를 0으로 초기화한 후
소수가 구해질 때마다 그 변수의 값에 +1을 하면 됩니다.
그러므로 소수의 개수를 1 증가시킨다고 하는 것이죠.
순서도의 6번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J를 0으로 초기화 시킵니다.
그런 다음 소수가 구해질 때마다 11번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J = J + 1을 통해 소수의 개수를 1씩 증가시킵니다.
2)
별도로 답안 작성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면
A:B로 제시된 경우 부등호 만을 이용하여 교재처럼 답안을 작성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