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에서 자료의 교환은 임시 변수가 있어야 한다고 선택정렬설명에서 하셨는데 삽입정렬에서 key라는 값이 등장해서는 임시변수없이 자료가 교환된다고 하는데 이 알고리즘을 이해할수가 없네요.
실제 시험장에서 이 key값의 정의가 교재에서처럼 '비교기준인 key값이 저장될 변수'라고 나온다면 상당한 혼란을 가져올것 같아요. 이런경우 key값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 교재처럼 임시변수없이 자료교환해야 된다라고 외워야 하는건가요? 너무너무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선택정렬이나 버블정렬은 비교 대상인 두 값을 서로 맞 교환해야 하므로 임시 변수를 두어 교환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삽입정렬은 교재와 같이 비교 대상을 하나의 변수에 우선 저장한 후 그 변수와 그 이전의 값들을 비교하여 비교 대상의 변수(교재에서는 Key) 값이 들어갈 위치를 찾는 것이 특징입니다. 앞선 정렬에서의 임시 변수와는 다른 변수입니다.
삽입정렬에서는 이러한 비교 대상이 되는 변수를 찾은 것이 중요한데, 친절하게 변수의 용도로 설명이 된다면 좀더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9-21 09:24:43
안녕하세요.
선택정렬이나 버블정렬은 비교 대상인 두 값을 서로 맞 교환해야 하므로 임시 변수를 두어 교환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삽입정렬은 교재와 같이 비교 대상을 하나의 변수에 우선 저장한 후 그 변수와 그 이전의 값들을 비교하여 비교 대상의 변수(교재에서는 Key) 값이 들어갈 위치를 찾는 것이 특징입니다. 앞선 정렬에서의 임시 변수와는 다른 변수입니다.
삽입정렬에서는 이러한 비교 대상이 되는 변수를 찾은 것이 중요한데, 친절하게 변수의 용도로 설명이 된다면 좀더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