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라기 보다는 아쉬움인데요.
고1 아들 놈이 갑자기 정보처리기능사 시험보겠다고 해서 제가 가르쳐주었는데
일부 알고리즘(특히 배열)쪽에서는 이해를 잘 못하더군요.
- 저도 기능사 시험이 이렇게 어려운지 좀 의아했구요.
그래서 이거도 이해 못하냐고 아들 구박도 하고 울리기도 했는데요.
- 다행히 딱 60점으로 합격은 했습니다만.
어차피 시작한 것..
졸업한지 25년이 지났지만 취미삼아 기사 자격증을 추가 취득하려고
필기는 무난히 합격하고 실시시험 책도 샀고 공부중인데요..맙소사..
기능사 실기 책에 있는 알고리즘이 기사시험 알고리즘에도 그대로 있는 것입니다.
왜 기능사 책에 그렇게 어려운 알고리즘들을 포함시켜 두었나요? (기사시험 기출문제를.)
- 알고리즘에 시간을 그렇게 뺐기지 않고 다른 부문 공부를 더 했으면 쉽게 합격했을텐데요.
- 그 때 기능사 시험 마치고 (물론 저도 같이 시험보았습니다만) 나오면서 제가 아들에게
미안하다고 했거든요. 내가 알고리즘의 난이도를 몰랐다고. 울린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에.
시험은 진짜 진짜 너무 너무 아주 아주 쉬운 알고리즘이었거든요.
결론 : 앞으로 시험보는 고등학생들을 위해서라고 기능사 실기 책 난이도는 낮춰 주세요.
안녕하세요.
알고리즘은 기본 원리만 확실히 파악된다면 순서도의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복잡한 알고리즘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국 원리 파악을 위해 다양한 문제를 수록하였으며, 시행처에서도 시험의 출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폭넓은 준비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향후 교재에서는 회원님의 의견을 수렴하여 각 알고리즘 또는 섹션별로 등급을 두어 꼭 학습해야 하는 내용을 선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9-18 09:43:20
안녕하세요.
알고리즘은 기본 원리만 확실히 파악된다면 순서도의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복잡한 알고리즘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국 원리 파악을 위해 다양한 문제를 수록하였으며, 시행처에서도 시험의 출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폭넓은 준비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향후 교재에서는 회원님의 의견을 수렴하여 각 알고리즘 또는 섹션별로 등급을 두어 꼭 학습해야 하는 내용을 선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