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답은 이해가 되는되요 괄호 5번의 답이 이해가 않됩니다.
C가 아니라 N이 되어야 되는게 맞지않나요?
그리고 552쪽에 S배열에 첫번째가 0이면 왜 양수를 의미하고 1이면 음수를 왜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1)
N은 소인수로 분해할 입력된 값이 저장될 변수입니다.
C는 입력받은 값, 즉 N을 소인수 분해하여 소인수가 발생할 때마다 1씩 증가시키는 변수로
소인수의 개수와 소인수가 저장될 S 배열의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입니다.
C가 1이라는 것은 소인수가 1개, 즉 자기 자신 뿐이라는 것으로 이는 소수에 해당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인수가 2개 이상이므로 소인수 분해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하는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 5 )번은 C가 맞습니다.
2)
247쪽 처리조건에서
8비트 2진수 값의 최상위 비트는 부호 비트이며, 최상위 비트의 값이 0인 경우 양수이고 1인 경우 음수이다.
라고 제시되어 있습니다.
문제를 풀때는 항상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을 확실히 파악한 후 답안을 작성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라도 처리조건에서 다르게 제시되었다면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에 맞게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는 것도 염두에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9-14 10:49:34
안녕하세요.
1)
N은 소인수로 분해할 입력된 값이 저장될 변수입니다.
C는 입력받은 값, 즉 N을 소인수 분해하여 소인수가 발생할 때마다 1씩 증가시키는 변수로
소인수의 개수와 소인수가 저장될 S 배열의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입니다.
C가 1이라는 것은 소인수가 1개, 즉 자기 자신 뿐이라는 것으로 이는 소수에 해당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인수가 2개 이상이므로 소인수 분해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하는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 5 )번은 C가 맞습니다.
2)
247쪽 처리조건에서
8비트 2진수 값의 최상위 비트는 부호 비트이며, 최상위 비트의 값이 0인 경우 양수이고 1인 경우 음수이다.
라고 제시되어 있습니다.
문제를 풀때는 항상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을 확실히 파악한 후 답안을 작성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라도 처리조건에서 다르게 제시되었다면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에 맞게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는 것도 염두에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