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플로차트에서 int함수와 진법변환 질문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특별개정판
페이지
조회수
44
작성일
2017-09-11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첫번째 질문
int(5/2)는 2,
int(4/2)는 2,
int(3/2)는 1이라 알고 있는데
그럼 int(1/2)는 0인가요? 아니면 1인가요?
정보처리기사 실기 특별개정판(모서리 녹색) 192쪽 풀다가 의문이 들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질문2
실기 개정판 197쪽 플로차트에서 10번에 A[E+1]에 대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A[E+1]이 왜 쓰였는지와 교재에 설명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답변
2017-09-12 10:56:58
안녕하세요.
1)
INT(1/2)는
1/2가 0.5이지만 여기에 INT 함수를 적용하므로 INT(0.5) = 0이 됩니다.
2)
배열 A에는 0부터 값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A[1]은 0, A[2]는 1과 같이 배열의 위치보다 1 작은 값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죠.
E는 몫이 저장될 변수인데, 몫과 A 배열의 값을 이용해 출력해야 하는데,
몫이 1인 경우 A 배열에서 1인 값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래의 몫인 E에 +1을 하여 배열의 위치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배열에 저장된 값은 위치보다 1적은 값이 들어있다고 했기때문이죠.
그래서 몫이 1인 경우에는 A[1]을 하면 0이 출력되므로 A[E+1]을 하여 A[2]가 지정되도록 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9-12 10:56:58
안녕하세요.
1)
INT(1/2)는
1/2가 0.5이지만 여기에 INT 함수를 적용하므로 INT(0.5) = 0이 됩니다.
2)
배열 A에는 0부터 값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A[1]은 0, A[2]는 1과 같이 배열의 위치보다 1 작은 값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죠.
E는 몫이 저장될 변수인데, 몫과 A 배열의 값을 이용해 출력해야 하는데,
몫이 1인 경우 A 배열에서 1인 값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래의 몫인 E에 +1을 하여 배열의 위치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배열에 저장된 값은 위치보다 1적은 값이 들어있다고 했기때문이죠.
그래서 몫이 1인 경우에는 A[1]을 하면 0이 출력되므로 A[E+1]을 하여 A[2]가 지정되도록 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