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380페이지 문제1번 ④번 답에 정답으로는 J+1로 나와있는대
답을 J=6으로 해도 되는건가요.
J값으로인해서 값은 달라지긴하지만
MOD(i,2)=0 조건문에서 YES일때 ⑤ J>1이지 않으면
해당 알고리즘에서는 J의 값은 1이 될텐대
그러면 J=0을 정답처럼 J-1로하던지
배열을 5개로 잡은걸 알고있기 때문에 J=6으로 답을 썼는대
틀린답인지 궁금합니다.
그다음 문제3번에서 ①번의 답이 J로 나와있습니다.
저는 정답을 S+1로 적었는대요.
S+1로 적어도 솔직히 배열이 5행5열이든 7행7열 이든 9행9열이든 배열 A처럼 숫자를 기억시킬수있다고 생각합니다.
J의값이 중간값이전까지만 S를 증가시키면되니까 정답처리가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문제8번도 문제1번과 동일한 알고리즘인대
문제②번의 답이 j=-1로 되어있습니다.
그냥 j-해주면 j는 0일때 else문으로 가서 j의 값은 -1일 될탠대
j=-1로 초기화해주는거랑 j-로 값을 -1해주는거랑 차이가있나요?
j-해도 답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실제 시험볼때도 정답을 변수의값과 배열의 수같은게 변할 수 있더라도 알고리즘이 구현되면 정답처리를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의 공통된 의도는 결과가 같은 여러 항목에 대한 채점 기준인 것 같습니다.
J+1 또는 6이 정답인 경우 답항을 작성하는 부분에 변수를 이용하라거나 상수(숫자)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없다면 어느 것이든 결과가 올바르게 산출되는 답항이면 맞게 됩니다. 단 답안 작성 조건이 제시된 경우 조건에 맞는 답항만 답으로 인정됩니다.
j--;
j = j - 1;
j -= 1;
모두 같은 결과를 산출하므로 맞게 채점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9-12 10:45:43
안녕하세요.
질문의 공통된 의도는 결과가 같은 여러 항목에 대한 채점 기준인 것 같습니다.
J+1 또는 6이 정답인 경우 답항을 작성하는 부분에 변수를 이용하라거나 상수(숫자)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없다면 어느 것이든 결과가 올바르게 산출되는 답항이면 맞게 됩니다. 단 답안 작성 조건이 제시된 경우 조건에 맞는 답항만 답으로 인정됩니다.
j--;
j = j - 1;
j -= 1;
모두 같은 결과를 산출하므로 맞게 채점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