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실수형 변수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특별개정판
페이지
54
조회수
225
작성일
2017-09-01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54쪽 맨밑 문단을 보면 float b = 314.1592e+5; 이렇게 되어있는데 옆 설명에 정규화되어 3.141592e+07의 형태로 저장된다고 되어있는데 정규화는 어떻게 시키는 건가요? 왜 저렇게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55쪽의 전문가의 조언을 봐도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ㅠㅜ

답변
2017-09-04 09:30:03

안녕하세요.

지수 표현에서 말하는 정규화란 정수를 한자리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314.1592e+5라는 의미는 현재 소수점 위치가 정수 3자리 뒤에 있지만 실제는 그 위치에서 5자리 오른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31415920. 이라는 것이죠. 뒤의 +5는 본래의 소수점 위치를 알리기 위한 값입니다.

314.1592e+5를 정규화 하면 즉 정수부분을 한자리로 만들면

3.141592 가 됩니다. 앞선 314.1592에서 소수점 위치가 왼쪽으로 2자리 옮겨졌으므로 +5에 2를 더한 +7로 표현합니다.

3.141592e+7로 표현된 것이 정규화된 것이죠.

3.141592e+7에서 +7은 본래 소수점의 위치는 오른쪽으로 7자리 뒤에 있었다는 의미가 됩니다.

정규화 처리되는 내용이 시험에 출제된 가능성은 낮습니다. 가볍게 이해하고 넘어가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9-04 09:30:03

    안녕하세요.

    지수 표현에서 말하는 정규화란 정수를 한자리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314.1592e+5라는 의미는 현재 소수점 위치가 정수 3자리 뒤에 있지만 실제는 그 위치에서 5자리 오른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31415920. 이라는 것이죠. 뒤의 +5는 본래의 소수점 위치를 알리기 위한 값입니다.

    314.1592e+5를 정규화 하면 즉 정수부분을 한자리로 만들면

    3.141592 가 됩니다. 앞선 314.1592에서 소수점 위치가 왼쪽으로 2자리 옮겨졌으므로 +5에 2를 더한 +7로 표현합니다.

    3.141592e+7로 표현된 것이 정규화된 것이죠.

    3.141592e+7에서 +7은 본래 소수점의 위치는 오른쪽으로 7자리 뒤에 있었다는 의미가 됩니다.

    정규화 처리되는 내용이 시험에 출제된 가능성은 낮습니다. 가볍게 이해하고 넘어가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