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page SECTION13에서
1+2+4+7+11+16+22로 증가하는 수열에서
수열의 합을 계산하려면 3개의 변수를 사용해야한다고했는대
그냥 i, J두개의 변수를 이용해서
i=1 , J=0로 초기화시키고
J=J+i로해서 i를 20까지 증가시켜서 J값을 누적시켜 출력 시키면 되지않나요?
K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i를 1, J를 0으로 초기화한 후
J = J + i를 이용해 J 값을 출력하면
i는 1, J는 0
J = J + i에 의해 J는 1이 됩니다.
수열의 첫 번째 항까지의 합인 1이 맞습니다.
이후 i는 1증가합니다.
i는 2가 되고
J = J + i에 의해 J는 3이 됩니다.
수열의 두 번째 항까지의 합인 1+2 = 3이 맞습니다.
이후 i는 1증가합니다.
i는 3이 되고
J = J + i에 의해 J는 6이 됩니다.
수열의 세 번째 항까지의 합은 1+2+4 = 7인데, J는 6이 되므로 다른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8-28 16:27:13
안녕하세요.
i를 1, J를 0으로 초기화한 후
J = J + i를 이용해 J 값을 출력하면
i는 1, J는 0
J = J + i에 의해 J는 1이 됩니다.
수열의 첫 번째 항까지의 합인 1이 맞습니다.
이후 i는 1증가합니다.
i는 2가 되고
J = J + i에 의해 J는 3이 됩니다.
수열의 두 번째 항까지의 합인 1+2 = 3이 맞습니다.
이후 i는 1증가합니다.
i는 3이 되고
J = J + i에 의해 J는 6이 됩니다.
수열의 세 번째 항까지의 합은 1+2+4 = 7인데, J는 6이 되므로 다른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