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1권 313페이지에서 3번 답을 M이라고 하면 틀리나요?
2. 1권 308페이지 해설 569쪽에서 나머지는 같게 나왔는데 i랑 출력이 제가 디버깅한 값이랑 다르더라구요
i가 왜 5에서 5,4,3,2,1로 줄어드는 건가요? 출력값은 스택의 마지막 값이 70으로 overflow까지 나오던데, 70,60,50,20,10은 어떻게 나온건가요?
그리고,, 제가 아직 1권을 보고 있어서 그런데,
혹시 2권은 책을 보지않고 기출과 강의만 보고 외워가도 합격점수는 넘을 정도는 될까요 ..?
효율적인 학습법 좀 알려주세요 ㅜㅜ
마지막으로 기출문제는 시험대비자료랑 자료실의 기출문제에서 2017실기 특별개정판말고 2017실기를 보면 되나요?
기출풀이 강좌는 시험대비자료에 있는 자료를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1)
M으로만 비교해도 결과는 같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조건으로 DATA 배열의 1행에 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2행에는 총점이 저장되어 있다고 명시하였으므로
가장 정확한 답안은 DATA[1][M]이 됩니다.
2)
10, 20, 30, 40가지 PUSH가 수행됩니다. 현재 Top 포인트는 4입니다.
이후 POP이 한 번 수행되어 40이 제거되고 Top 포인트는 3이 됩니다.
이후 POP이 한 번 수행되어 30이 제거되고 Top 포인트는 2가 됩니다.
이후 PUSH(50)이 수행되어 Top 포인트가 1 증가된 3에 50이 저장됩니다.
이후 PUSH(60)이 수행되어 Top 포인트가 1 증가된 4에 60이 저장됩니다.
이후 PUSH(70)이 수행되어 Top 포인트가 1 증가된 5에 70이 저장됩니다.
이후 PuSH(80)이 수행될 때 Top 포인트가 1 증가되어 6이 되는데, Top 포인트가 5를 초과하므로 "Overflow"를 발생합니다.
그런 다음 Top 포인트를 1 감소시켜 Top 포인트가 5가 됩니다.
Overflow가 발생한 상태이므로 Push 후 return 값은 -1이 됩니다.
즉 ⑦번에서 -1이고 ⑧번에서 NO 이므로
⑨~⑩번 과정을 거치면서
i가 TOP 즉 5부터 1까지 -1씩 감소하면서 STACK에 저장된 값을 출력합니다.
즉 i가 5, 4, 3, 2, 1이 되면서 STACK 배열에 저장된 값이
뒤에서부터 거꾸로 출력되는 것이죠.
이미 앞서서 OVERFLOW가 출력되었으니 출력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OVERFLOW
70
60
50
20
10
이 됩니다.
3)
2과목 데이터베이스 과목도 실무 위주의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필기 때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학습하셨다면, 우선 SQL 관련 내용들 위주로 마무리를 하세요.
가장 좋은 것은 데이터베이스 과목도 충분한 시간을 두면서 전체적으로 학습을 해야 하지만 시험을 코 앞이므로 우선 SQL 관련 내용들 위주로 마무리하세요.
2회 시험대비자료에 포함된 1회 기출문제와 2회 모의고사를 꼭 풀어보면서 시험의 유형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23 10:11:38
안녕하세요.
1)
M으로만 비교해도 결과는 같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조건으로 DATA 배열의 1행에 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2행에는 총점이 저장되어 있다고 명시하였으므로
가장 정확한 답안은 DATA[1][M]이 됩니다.
2)
10, 20, 30, 40가지 PUSH가 수행됩니다. 현재 Top 포인트는 4입니다.
이후 POP이 한 번 수행되어 40이 제거되고 Top 포인트는 3이 됩니다.
이후 POP이 한 번 수행되어 30이 제거되고 Top 포인트는 2가 됩니다.
이후 PUSH(50)이 수행되어 Top 포인트가 1 증가된 3에 50이 저장됩니다.
이후 PUSH(60)이 수행되어 Top 포인트가 1 증가된 4에 60이 저장됩니다.
이후 PUSH(70)이 수행되어 Top 포인트가 1 증가된 5에 70이 저장됩니다.
이후 PuSH(80)이 수행될 때 Top 포인트가 1 증가되어 6이 되는데, Top 포인트가 5를 초과하므로 "Overflow"를 발생합니다.
그런 다음 Top 포인트를 1 감소시켜 Top 포인트가 5가 됩니다.
Overflow가 발생한 상태이므로 Push 후 return 값은 -1이 됩니다.
즉 ⑦번에서 -1이고 ⑧번에서 NO 이므로
⑨~⑩번 과정을 거치면서
i가 TOP 즉 5부터 1까지 -1씩 감소하면서 STACK에 저장된 값을 출력합니다.
즉 i가 5, 4, 3, 2, 1이 되면서 STACK 배열에 저장된 값이
뒤에서부터 거꾸로 출력되는 것이죠.
이미 앞서서 OVERFLOW가 출력되었으니 출력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OVERFLOW
70
60
50
20
10
이 됩니다.
3)
2과목 데이터베이스 과목도 실무 위주의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필기 때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학습하셨다면, 우선 SQL 관련 내용들 위주로 마무리를 하세요.
가장 좋은 것은 데이터베이스 과목도 충분한 시간을 두면서 전체적으로 학습을 해야 하지만 시험을 코 앞이므로 우선 SQL 관련 내용들 위주로 마무리하세요.
2회 시험대비자료에 포함된 1회 기출문제와 2회 모의고사를 꼭 풀어보면서 시험의 유형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