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쪽이 순서도 알고리즘과
253쪽의 c언어코드형식문제와 같은문제인거 같은데
245쪽에서는 밑에 부분 알고리즘에서 N=1일때 C=1이면 "소수"를 출력한다고 나와있는데
253쪽 C언어에서는 if (c==0)일때 prinf("소수")를 입력한다고 되어있는것 같아서 질문드려요
245쪽에문제와 253쪽의 문제가 같은 문제가 아닌가요?? 그럼 c가 소수로 갈때 1,0중 하나로 통일이 되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그리고 253쪽 밑에부분쪽에 for (y-0 ; y<=(c-1); y++) 이부분에서 괄호안에 c-1가 들어가는게 이해가 잘 안되요
저는 10000이라고 생각을 했었거든요 ㅠㅠ
안녕하세요.
C가 소인수를 저장할 배열 S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변수인데,
순서도에서 배열의 위치는 1부터시작이고
C언어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이기 때문입니다.
253쪽에서 c-1까지 진행하는 이유는
소인수를 출력할 때 × 기호를 함께 출력하는데, 마지막 소인수는 × 기호 없이 값만 출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2×2×5를 출력할 때
2×2× 까지는, 즉 c-1까지는 ×기호를 함께 출력하고
마지막 5, 즉 c는 ×기호 없이 값만 출력해야
2×2×5가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19 11:12:01
안녕하세요.
C가 소인수를 저장할 배열 S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변수인데,
순서도에서 배열의 위치는 1부터시작이고
C언어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이기 때문입니다.
253쪽에서 c-1까지 진행하는 이유는
소인수를 출력할 때 × 기호를 함께 출력하는데, 마지막 소인수는 × 기호 없이 값만 출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2×2×5를 출력할 때
2×2× 까지는, 즉 c-1까지는 ×기호를 함께 출력하고
마지막 5, 즉 c는 ×기호 없이 값만 출력해야
2×2×5가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