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414쪽에서 415쪽 c언어 코드를 보면
while(1)로 시작해서 break이 없는거 같은데요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럼 끝도없이 계속 반복되는 거 아닌가요?
질문2)
415쪽 c언어코드 12번이요
do while 구문이잖아요
조건문이 뒤에 있잔아요
조건문이 앞에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부서비교랑 같은 값이 아닌데 해버리고나서
부서비교를 다시 바꾸고 다시 해야되잖아요
한번이상은 자료를 그냥 날리게 되잖아요
제가 이 코드를 잘못 이해한건가요?
앞에 알고리즘 표랑 이 코드는 같은 거 같지가 않아요
질문3)
strcpy(1,2) 2에값을 1에 넣는다 이게 식인가요?
질문4)
strcmp(1,2) 1문자열길이-2문자열길이 이게 식인가요?
질문5)
426쪽 c언어코드에서
13번아래 c에 대한 정의도 있어야 하는거아닌가요?
뒤에 c랑 data[i].ban을 비교해야하는데
c에 대한 언급이 없는거 같아서요
질문6)
433쪽 3번답
J =j-(j/4) 해도 정답처리될까여?
안녕하세요.
1)
break 대신에 exit(0)이 있습니다. exit(0)을 만나면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2)
412쪽 순서도입니다.
우선 첫 번째 값은 어느 부서이든 출력을 해야 하므로 먼저 출력을 합니다.
그런 다음 ⑫번에서 부서를 비교합니다. 부서가 같으면 이어서 출력을 합니다.
만일 부서가 다르면 부서별 합계를 출력하고
부서 비교를 위해 부교 비교 대상 변수의 값을 변경합니다. 부서 변경 처리를 하는 것이죠.
이때 do ~ While과 같이 우선 출력을 하나 하고 그 다음 부서를 비교합니다.
그러므로 C언어에서도 do ~ while 문으로 처리한 것입니다.
이는 직접 디버깅을 수행해 보면서 값 변화를 살펴 보면 좀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3)
strcpy(문자열1, 문자열2)는 함수입니다. 문자열2의 값을 문자열1에 복사합니다.
결국 수행 후에는 문자열1과 문자열2의 값이 같아집니다.
4)
strcmp(문자열1, 문자열2)는 함수입니다. 문자열1과 문자열2를 비교합니다.
비교해서
두 값이 같으면 0
문자열1이 크면 1
문자열2가 크면 -1
을 반환합니다.
5)
424쪽입니다.
14번은 13번을 수행한 후에 실행하지만 20번에서 No가 된 경우에도 수행해야 합니다.
즉 14번과 20번 과정을 모두 흡수하기 위해 C언어에서는 위치를 조절한 것입니다.
실제 순서도의 내용을 코드로 구현하려면 C언어로 구현된 것처럼 위치해야 합니다.
그래서 C언어에서 14번 과정은 427쪽과 같이 21번 아래쪽에 위치합니다.
6)
예 ..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16 09:51:51
안녕하세요.
1)
break 대신에 exit(0)이 있습니다. exit(0)을 만나면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2)
412쪽 순서도입니다.
우선 첫 번째 값은 어느 부서이든 출력을 해야 하므로 먼저 출력을 합니다.
그런 다음 ⑫번에서 부서를 비교합니다. 부서가 같으면 이어서 출력을 합니다.
만일 부서가 다르면 부서별 합계를 출력하고
부서 비교를 위해 부교 비교 대상 변수의 값을 변경합니다. 부서 변경 처리를 하는 것이죠.
이때 do ~ While과 같이 우선 출력을 하나 하고 그 다음 부서를 비교합니다.
그러므로 C언어에서도 do ~ while 문으로 처리한 것입니다.
이는 직접 디버깅을 수행해 보면서 값 변화를 살펴 보면 좀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3)
strcpy(문자열1, 문자열2)는 함수입니다. 문자열2의 값을 문자열1에 복사합니다.
결국 수행 후에는 문자열1과 문자열2의 값이 같아집니다.
4)
strcmp(문자열1, 문자열2)는 함수입니다. 문자열1과 문자열2를 비교합니다.
비교해서
두 값이 같으면 0
문자열1이 크면 1
문자열2가 크면 -1
을 반환합니다.
5)
424쪽입니다.
14번은 13번을 수행한 후에 실행하지만 20번에서 No가 된 경우에도 수행해야 합니다.
즉 14번과 20번 과정을 모두 흡수하기 위해 C언어에서는 위치를 조절한 것입니다.
실제 순서도의 내용을 코드로 구현하려면 C언어로 구현된 것처럼 위치해야 합니다.
그래서 C언어에서 14번 과정은 427쪽과 같이 21번 아래쪽에 위치합니다.
6)
예 ..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