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111쪽부터 질문합니다
1)
기출따라잡기 문제1에서요
as selet 제품.제품코드, 제품.제품명 ~ 이렇게 테이블명이랑 같이 쓴 이유는
문제에 언급되어있기 때문인가요? 어차피 중복되는 이름이 없어서 그냥 써도 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CREATE VIEW 설명 예제에는 WHITH CHECK OPTION 붙였는데 여긴 왜 안붙이나요
2)
120쪽 예상문제은행1번
답안 기재하는데 순서는 상관없는건가요?
3)
문제8번
정답 마지막에요
WHERE 학과명IS NULL은 왜하나요
문제에 제시된 학과테이블에는 학교명이 널인 값이 없는데요
4)문제9번이요
SUM(수량) 그냥 가로인데
왜 LEFT([주소] [] 이 가로를 쓰는건
()안에 또 가로를 하기위해 [] 이걸 쓰는건가요
5)
문제11
조인하라는 언급이 문제에 있어도
JOIN을 쓰던 SELECT를 써서 풀건 상관이 없는건가요
6)
문제16
WHERE절에 SELECT 쓸떄는 꼭 IN을 써야하는건가요
WHERE 총액 = SELECT MAX() ~~~ 이렇게 쓰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1)
문제로 필드명이 제시되어서 작성한 것입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문제나 문제의 조건으로 제시된 내용이 있으면 그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하시면 됩니다.
WITH CHECK OPTION 절은 뷰에 대한 갱신이나 삽입 연산이 실행될 대 뷰의 정의 조건이 위배될 경우 실행이 거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옵션을 추가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조건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2)
답이
DROP TABLE 직원;
입니다.
죄송합니다. 순서라는 것이 무엇을 말씀하시는지 한 번 더 언급해 주시면 다시 한 번 답변드리겠습니다.
3)
NULL은 아무것도 없는 값을 의미합니다. 즉 비어 있는 것이죠.
문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이를 사용한 것입니다.
조건에 이와 같이 비어 있는 값이 있는 지 확인할 때 is null 혹은 in not null을 사용합니다.
4)
필드명이 함수에 사용될 때는 대괄호로 묶어줍니다. 프로그램에서는 필드명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대괄호를 붙이지 않아도 실행되는 경우가 있지만 코드를 직접 작성할 때는 필드임을 알리기 위해 대괄호를 붙입니다.
1회 시험에서도 문자열을 묶을 때 작은따옴표(' ')를 사용하라거나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을 붙이라는 작성 방법이 자세히 제시되었습니다. 시험에서 필드가 함수에 사용될 경우 묶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습니다. 혹 제시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붙여 사용하므로 필드에 대괄호를 붙여서 작성하세요.
5)
WHERE 지점.지점명 = 예금계좌.지점명
이와 같이 조건을 작성하는 것이 EQUI JOIN의 표기 형식입니다.
6)
문제에 하위 질의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우선 결과가 동일하게 산출되는 구문이라면 맞게 채점될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종합하면 실제 시험에서 작성 방법으로 제시되는 조건을 꼼꼼히 살펴서 그에 맞게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08 10:26:05
안녕하세요.
1)
문제로 필드명이 제시되어서 작성한 것입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문제나 문제의 조건으로 제시된 내용이 있으면 그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하시면 됩니다.
WITH CHECK OPTION 절은 뷰에 대한 갱신이나 삽입 연산이 실행될 대 뷰의 정의 조건이 위배될 경우 실행이 거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옵션을 추가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조건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2)
답이
DROP TABLE 직원;
입니다.
죄송합니다. 순서라는 것이 무엇을 말씀하시는지 한 번 더 언급해 주시면 다시 한 번 답변드리겠습니다.
3)
NULL은 아무것도 없는 값을 의미합니다. 즉 비어 있는 것이죠.
문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이를 사용한 것입니다.
조건에 이와 같이 비어 있는 값이 있는 지 확인할 때 is null 혹은 in not null을 사용합니다.
4)
필드명이 함수에 사용될 때는 대괄호로 묶어줍니다. 프로그램에서는 필드명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대괄호를 붙이지 않아도 실행되는 경우가 있지만 코드를 직접 작성할 때는 필드임을 알리기 위해 대괄호를 붙입니다.
1회 시험에서도 문자열을 묶을 때 작은따옴표(' ')를 사용하라거나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을 붙이라는 작성 방법이 자세히 제시되었습니다. 시험에서 필드가 함수에 사용될 경우 묶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습니다. 혹 제시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붙여 사용하므로 필드에 대괄호를 붙여서 작성하세요.
5)
WHERE 지점.지점명 = 예금계좌.지점명
이와 같이 조건을 작성하는 것이 EQUI JOIN의 표기 형식입니다.
6)
문제에 하위 질의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우선 결과가 동일하게 산출되는 구문이라면 맞게 채점될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종합하면 실제 시험에서 작성 방법으로 제시되는 조건을 꼼꼼히 살펴서 그에 맞게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