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점이 있어 올립니다.
질문 1
1권 142 페이지를 보면 순서도에 INT(i/2) = i/2 라고 비교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부분을 보면 / 연산을 할때 소수점 이하가 발생하는것을 가정함을 알 수 있습니다.
1권 614 페이지 2 번 답을 보면 순서도에서 INT(T/M) 이라고 되어 있어, 소수가 발생 할 수 있는 경우는 INT 함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출문제 144 PAGE 를 보면 답에 T/M 으로 되어 있습니다.
1권 385 페이지를 보면 MOK = P/TMP[Q] 이라고 적혀진 부분이 나옵니다.
소수점 이하가 발생 할 수 있었는데 INT 함수를 쓰지 않았습니다.
그외 나누셈에 의한 결과는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는 부연 설명도 없었구요.
코드 에서는 int 로 선언했을 경우 자동으로 형 변환 된다고 하지만,
순서도에서는 어떤 경우에 INT 를 쓰고 어떤 경우에 INT 를 쓰지 않는지 알고 싶습니다.
질문 2
같은 맥락으로 나머지를 구하는 방식이 값 - 몫 * 제수, % 연산자, mod 함수 이 3 가지 방식이 순서도에서 혼용되어 쓰이고 있는데, 어떤 경우 어떤 방식으로 적어야 할지 궁금합니다.
질문 3
기출문제에서 알고리즘 해법 11번에서 4 번답은 M/2 라고 나와있는데 INT(M/2) 라고 하면 실제 시험에서 틀리게 처리 하나요? 아니면 뭐라고 적어야 하나요? M/2 가 확실히 맞는건가요?
이상입니다.
수고하십시오.
안녕하세요.
1)
142쪽, 614쪽 모두 소수점 발생을 감안하여 iNT를 사용하였습니다.
3권 기출문제집 67쪽 알고리즘 유형5 - 실무 응용에서는 '/' 연산자의 기능이 소수점 이하는 버리는 INT의 역할을 한다고 조건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INT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1권 385쪽도 위와 같이 조건에 '/' 연산자의 기능이 INT와 같이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결국 문제의 처리조건에 '/' 연산자의 기능이나 INT 함수의 기능이 제시된 경우 제시된 기능에 맞게 순서도에 적용을 하면 됩니다.
2)
나머지를 구할 때 문제의 처리조건에 MOD 함수를 사용하라는 제시가 있으면 MOD를 사용하고 그러한 제시가 없다면 식을 이용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3)
보통 함수를 답에 기재해야 할 경우에는 함수가 처리조건으로 제시됩니다. 혹은 '/' 연산자의 기능이 제시됩니다.
처리조건에 INT 함수가 제시되었는지 혹은 '/' 연산자의 기능이 제시되었는지 확인하여 이에 맞게 작성하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 연산자의 기능이 제시되었으므로 INT를 사용하지 않고 M/2로만 기술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08 09:57:03
안녕하세요.
1)
142쪽, 614쪽 모두 소수점 발생을 감안하여 iNT를 사용하였습니다.
3권 기출문제집 67쪽 알고리즘 유형5 - 실무 응용에서는 '/' 연산자의 기능이 소수점 이하는 버리는 INT의 역할을 한다고 조건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INT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1권 385쪽도 위와 같이 조건에 '/' 연산자의 기능이 INT와 같이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결국 문제의 처리조건에 '/' 연산자의 기능이나 INT 함수의 기능이 제시된 경우 제시된 기능에 맞게 순서도에 적용을 하면 됩니다.
2)
나머지를 구할 때 문제의 처리조건에 MOD 함수를 사용하라는 제시가 있으면 MOD를 사용하고 그러한 제시가 없다면 식을 이용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3)
보통 함수를 답에 기재해야 할 경우에는 함수가 처리조건으로 제시됩니다. 혹은 '/' 연산자의 기능이 제시됩니다.
처리조건에 INT 함수가 제시되었는지 혹은 '/' 연산자의 기능이 제시되었는지 확인하여 이에 맞게 작성하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 연산자의 기능이 제시되었으므로 INT를 사용하지 않고 M/2로만 기술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