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스택 질문합니다
1)
앞쪽에 병합하는 순서도랑은 다르게
스택에서는 서브루틴 호출 이름이 다른데
왜그런건가요?
i=push(k)
push(ii)
이게 왜 다른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c언어 코드에서
printf("%10d/n", ~)
여기서 10은 무슨의미인가요?
3) 그리고 바로 예상문제은행이요 여태껏 문제들은 구체적인 숫자로 문제가 나왔던거 같은데
이번문제들은 다 뭔가 진짜 풀어보면서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 같은 느낌이에요
그래서 더 어려운것같은데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1)
호출하는 부분에서의 인수에 해당하는 변수
즉 i = push(k)에서 k는 전달되는 변수이므로 정확히 기술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를 받아 처리하는 push 함수 부분에서의 변수명
즉 push(ii)에서 ii는 전달되는 변수 k와 이름이 달라도 됩니다. 물론 같아도 되구요.
왜냐하면 push(ii)에서 ii는 push 함수에서 새롭게 선언하고 사용되는 것으로 변수의 이름이 무엇이든 그 변수가 전달되는 k의 값을 받는 것이므로 변수명은 관계가 없습니다.
2)
%10d에서 10은 출력할 자리수 입니다. 출력할 때 10자리를 확보하여 d(정수형)으로 출력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stack[i]의 값을 10자리 확보하여 출력하므로
stack[i]의 값이 10이면
________10 과 같이 앞의 8자리가 띄어진 후 10이 출력됩니다.
3)
실제 시험 문제는 예상문제은행과 같이 출제됩니다.
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유형이 출제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교재로 학습한 알고리즘의 유형이 동일하거나 조금 변형되어 출제되므로 교재의 알고리즘을 정확히 이해한 후 순서도를 통해 반복 학습을 하였다면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그러니 꾸준한 반복 학습을 통해 내용들이 익숙해 지도록 섹션들의 내용을 학습한 후 예상문제은행의 문제를 풀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05 11:11:51
안녕하세요.
1)
호출하는 부분에서의 인수에 해당하는 변수
즉 i = push(k)에서 k는 전달되는 변수이므로 정확히 기술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를 받아 처리하는 push 함수 부분에서의 변수명
즉 push(ii)에서 ii는 전달되는 변수 k와 이름이 달라도 됩니다. 물론 같아도 되구요.
왜냐하면 push(ii)에서 ii는 push 함수에서 새롭게 선언하고 사용되는 것으로 변수의 이름이 무엇이든 그 변수가 전달되는 k의 값을 받는 것이므로 변수명은 관계가 없습니다.
2)
%10d에서 10은 출력할 자리수 입니다. 출력할 때 10자리를 확보하여 d(정수형)으로 출력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stack[i]의 값을 10자리 확보하여 출력하므로
stack[i]의 값이 10이면
________10 과 같이 앞의 8자리가 띄어진 후 10이 출력됩니다.
3)
실제 시험 문제는 예상문제은행과 같이 출제됩니다.
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유형이 출제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교재로 학습한 알고리즘의 유형이 동일하거나 조금 변형되어 출제되므로 교재의 알고리즘을 정확히 이해한 후 순서도를 통해 반복 학습을 하였다면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그러니 꾸준한 반복 학습을 통해 내용들이 익숙해 지도록 섹션들의 내용을 학습한 후 예상문제은행의 문제를 풀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