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호 (2)번에 들어갈 답이 >=라고 되어 있는데,
만약 A[k]가7일 경우
7 >= 7 이므로
L = 0 이되면
7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자료가 7이 되므로
M이 7이 출력 되지 않나요?
답이 >가 아닌 이유가 궁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괄호 (2)와 (3)이 있는 곳에서는 배열의 해당 요소와 7을 비교하여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빼 차이값을 양수로 만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곳입니다. 값이 같은 경우에는 어느 쪽에서 빼든 동일합니다. 어차피 7-7로 0이 산출되기 때문이죠.
그러므로 (2)에 >=이 들어가나 (3)에 <=이 들어가나 관계가 없습니다. 교재에서는 어느 한 쪽으로 설명으로 해야 하므로 210쪽 각 항목의 설명에 맞게 ⑩번 설명에 따라 (2)에 >=을 넣은 것입니다.
차이값이 동일할 경우 나중에 입력된 값이 출력되도록 하는 부분은 ⑪번 부분입니다.
L : J에서
아래쪽이 <= 이므로 즉 같은 경우에도 최소값을 변경한다는 것은 최소값이 동일한 경우가 있다면 마지막에 찾은 값을 최소값으로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두 부분을 구분해서 파악하되 (2), (3)에서는 =가 어느 쪽에 붙든 관계가 없다는 것도 다시 한 번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05 09:45:33
안녕하세요.
괄호 (2)와 (3)이 있는 곳에서는 배열의 해당 요소와 7을 비교하여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빼 차이값을 양수로 만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곳입니다. 값이 같은 경우에는 어느 쪽에서 빼든 동일합니다. 어차피 7-7로 0이 산출되기 때문이죠.
그러므로 (2)에 >=이 들어가나 (3)에 <=이 들어가나 관계가 없습니다. 교재에서는 어느 한 쪽으로 설명으로 해야 하므로 210쪽 각 항목의 설명에 맞게 ⑩번 설명에 따라 (2)에 >=을 넣은 것입니다.
차이값이 동일할 경우 나중에 입력된 값이 출력되도록 하는 부분은 ⑪번 부분입니다.
L : J에서
아래쪽이 <= 이므로 즉 같은 경우에도 최소값을 변경한다는 것은 최소값이 동일한 경우가 있다면 마지막에 찾은 값을 최소값으로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두 부분을 구분해서 파악하되 (2), (3)에서는 =가 어느 쪽에 붙든 관계가 없다는 것도 다시 한 번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