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문을 벗어날때의 반복변수 값 전문가의조언을 읽었는데요
왜 처음에만 케이가 0을 갖고 벗어나는건가요?
저 설명대로라면 i가 3 4 5 일때도
마지막 케이는 다 0으로 빠져나와야하는것이아닌가여?
그리고 앞에 많은 반복문들을 봣지만
이 사실을 왜 지금에서야 알게된건가여
앞에는 제가 놓친건가여?
안녕하세요.
반복문의 처리 과정은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항상 증가값이 한번 더 적용된 후 종료값과 비교하여 만족하지 않게되었을 때 빠져나오게 됩니다. 그 이전 학습에서는 반복문을 빠져나오더라도 반복 변수의 값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가 중요하지 않았지만
280쪽과 같이 반복문을 벗어난 후에도 반복 변수를 사용할 경우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반복 변수의 값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복문을 정상적으로 마지막까지 진행한 후 빠져나왔다면 k는 0이 된 상태로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i 값 모두가 반복문을 마지막까지 진행하지는 않습니다. A[K]가 KEY보다 작은 경우에는 중간에 반복문을 빠져나오므로 그 때 k의 값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 둘의 차이를 구분하면서 디버깅을 수행해 봐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01 09:31:43
안녕하세요.
반복문의 처리 과정은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항상 증가값이 한번 더 적용된 후 종료값과 비교하여 만족하지 않게되었을 때 빠져나오게 됩니다. 그 이전 학습에서는 반복문을 빠져나오더라도 반복 변수의 값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가 중요하지 않았지만
280쪽과 같이 반복문을 벗어난 후에도 반복 변수를 사용할 경우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반복 변수의 값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복문을 정상적으로 마지막까지 진행한 후 빠져나왔다면 k는 0이 된 상태로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i 값 모두가 반복문을 마지막까지 진행하지는 않습니다. A[K]가 KEY보다 작은 경우에는 중간에 반복문을 빠져나오므로 그 때 k의 값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 둘의 차이를 구분하면서 디버깅을 수행해 봐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