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 여러개 드립니다.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특별개정판
페이지
0
조회수
126
작성일
2017-05-1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C나 JAVA의 경우 배열은 0부터 첫번째 입니다.

알고리즘의 경우는 1부터 첫번째라고 암묵적으로 받아들이나요?

2. 만약 빈칸의 조건식에서 A=B라면,

B=A 라고 해도 정답처리가 되나요?

3. 183page

나머지를 구할 때 NMG = BIG - MOK * SMALL 로 구합니다.

MOD(BIG/SMALL) 이라고 적으면 틀린 답으로 처리되나요?

4. 248page 다음은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 사이의 값들의 합계와 평균을...

-> 두 수 사이의 값들이므로, A와 B는 제외해야 하지 않나요?

10 과 20사이의 수의 합 -> 11 + 12 + 13 + ... + 19

5. 249page 6번 답

num mod 10이 답인데

num mod 5도 정답처리가 되나요?

num mod 2를 한번 거쳤기 때문에 알고리즘상 문제는 없을 것 같은데..

즉, 원하는 답변을 구할 수 있다면, 알고리즘 답이 달라도 정답이 처리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017-05-19 16:28:05

안녕하세요.

1)

C나 JAVA의 코딩에서는 배열의 위치는 무조건 0부터 시작입니다.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배열의 위치를 1 또는 0부터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처리조건에 배열의 위치를 제시해야 합니다.

혹 문제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위치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는 순서도를 통해 배열의 시작 위치의 파악도 문제의 일부라고 생각하여 의도적으로 제시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순서도에서 배열의 첨자로 사용되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2)

처리문에서는 변수의 위치가 바뀌면 전혀 다른 의미가 되지만, 조건 판단문에서 같거나 다른 경우를 비교할 때는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관계가 없습니다.

3)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문제의 처리조건에 함수가 명시됩니다.

특히 MOD의 경우 언어에 따라 사용법이 다르므로 반드시 제시되게 됩니다.

함수는 제시된 경우에만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알맞은 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4)

지금까지 출제되는 경향으로는 의미상으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은 처리조건으로 명시를 하여 명확하게 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조건이 명시되지 않았다면 순서도를 보고 파악하고 순서도에서도 파악하기 어렵다면, 두 수 사이라는 것은 between의 개념으로 두 수를 포함하도록 처리하세요. 출제자의 의도에 의해 사이의 의미가 두 수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제시했다면 물론 포함하지 않아야 하겠죠.

5)

예 ..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여러 항목이 있을 경우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모두 인정됩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정답의 범위를 축소할 수 있도 괄호의 위치를 10이나 5가 아닌 변수 num에 혹은 관계연산자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니 이점도 학습에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5-19 16:28:05

    안녕하세요.

    1)

    C나 JAVA의 코딩에서는 배열의 위치는 무조건 0부터 시작입니다.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배열의 위치를 1 또는 0부터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처리조건에 배열의 위치를 제시해야 합니다.

    혹 문제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위치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는 순서도를 통해 배열의 시작 위치의 파악도 문제의 일부라고 생각하여 의도적으로 제시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순서도에서 배열의 첨자로 사용되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2)

    처리문에서는 변수의 위치가 바뀌면 전혀 다른 의미가 되지만, 조건 판단문에서 같거나 다른 경우를 비교할 때는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관계가 없습니다.

    3)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문제의 처리조건에 함수가 명시됩니다.

    특히 MOD의 경우 언어에 따라 사용법이 다르므로 반드시 제시되게 됩니다.

    함수는 제시된 경우에만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알맞은 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4)

    지금까지 출제되는 경향으로는 의미상으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은 처리조건으로 명시를 하여 명확하게 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조건이 명시되지 않았다면 순서도를 보고 파악하고 순서도에서도 파악하기 어렵다면, 두 수 사이라는 것은 between의 개념으로 두 수를 포함하도록 처리하세요. 출제자의 의도에 의해 사이의 의미가 두 수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제시했다면 물론 포함하지 않아야 하겠죠.

    5)

    예 ..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여러 항목이 있을 경우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모두 인정됩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정답의 범위를 축소할 수 있도 괄호의 위치를 10이나 5가 아닌 변수 num에 혹은 관계연산자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니 이점도 학습에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