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357 7,8 부분
p63 문제 5번
p83 문제 1번
p84 문제 3번
기출문제집 p89 3부분
책 해설을
아무리 봐도 이해가 안갑니다
안녕하세요.
1)
행렬의 변화를 살펴보면,
C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이므로
열(j)은 0~3까지 변화할 때
행의 시작(L)은 3, 2, 1, 0으로 변화하고
행의 끝(E)은 3, 4, 5, 6으로 변해야 합니다.
col이 4이고 row가 7이므로
j가 0일 때
L = col - (j+1) = 4 - (0+1) = 3
e = (j-1) + col = (0-1) + 4 = 3
j가 1일 때
L = col - (j+1) = 4 - (1+1) = 2
e = (j-1) + col = (1-1) + 4 = 4
j가 2일 때
L = col - (j+1) = 4 - (2+1) = 1
e = (j-1) + col = (2-1) + 4 = 5
j가 3일 때
L = col - (j+1) = 4 - (3+1) = 0
e = (j-1) + col = (3-1) + 4 = 6
이와 같이 변화될 행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배열의 형태를 보고 알 수 있으므로 미리 값을 예상한 후 그 값이 될 수 있는 수식을 찾아 만들면 됩니다.
2)
예상문제은행에 대한 해설이 풀이 과정에 자세히 설명되었는데, 이 설명이 부족하다면
오늘 기준으로 묻고답하기 상단에 등록된 2장 예상문제은행 풀이 강의를 참고하세요.
3)
기출문제집 89쪽의 (③ )이 잘못 표기되어 혼동되신 것 같습니다.
반복 P = T, (③ ), 1
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변경한 후 ③번 답인 L을 채워넣은 후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14 16:38:41
안녕하세요.
1)
행렬의 변화를 살펴보면,
C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이므로
열(j)은 0~3까지 변화할 때
행의 시작(L)은 3, 2, 1, 0으로 변화하고
행의 끝(E)은 3, 4, 5, 6으로 변해야 합니다.
col이 4이고 row가 7이므로
j가 0일 때
L = col - (j+1) = 4 - (0+1) = 3
e = (j-1) + col = (0-1) + 4 = 3
j가 1일 때
L = col - (j+1) = 4 - (1+1) = 2
e = (j-1) + col = (1-1) + 4 = 4
j가 2일 때
L = col - (j+1) = 4 - (2+1) = 1
e = (j-1) + col = (2-1) + 4 = 5
j가 3일 때
L = col - (j+1) = 4 - (3+1) = 0
e = (j-1) + col = (3-1) + 4 = 6
이와 같이 변화될 행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배열의 형태를 보고 알 수 있으므로 미리 값을 예상한 후 그 값이 될 수 있는 수식을 찾아 만들면 됩니다.
2)
예상문제은행에 대한 해설이 풀이 과정에 자세히 설명되었는데, 이 설명이 부족하다면
오늘 기준으로 묻고답하기 상단에 등록된 2장 예상문제은행 풀이 강의를 참고하세요.
3)
기출문제집 89쪽의 (③ )이 잘못 표기되어 혼동되신 것 같습니다.
반복 P = T, (③ ), 1
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변경한 후 ③번 답인 L을 채워넣은 후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