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294페이지
9번 왜 m+1인지 설명을 봐도 이해가 안감
354페이지
8번은 L= (x-1)-i 아님?
9번은 L=i아님?
10번 j<=L아님?
안녕하세요.
1)
찾는 값과 그 값이 저장된 위치를 출력해야 하는데,
찾는 값은 j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위치는 m에 저장되어 있는데,
C 배열은 0부터 위치가 지정됩니다. 배열이 0부터 지정되는 것은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를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확인되는 배열의 위치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 열 번째가 됩니다.
그래서 0부터 시작되는 배열의 처리 위치에 +1을 하여 출력한 것입니다.
2)
행렬의 변화가 발생하는 배열의 경우 변화되는 값들을 살펴보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C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하므로
열의 시작은 0으로 고정되지만
열의 끝 위치는 배열의 크기인 x를 이용할 때 행의 중간까지는 x-행(i), 즉 7-i를 해야 하는데
i가 0일 때 L은 7이 산출됩니다 하지만 c는 0부터 시작하므로 열의 끝 위치는 0~6까지 변화해야 하는데, 7은 가질 수 없죠.
그래서 (x-i) 값에 +1을 하여 원하는 i가 0, 1, 2일 때 6 5 4까지의 값을 갖고
중간 행 이후 부터는
i+1을 하여 i가 3, 4, 5, 6일 때 3 4 5 6을 갖도록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12 10:20:09
안녕하세요.
1)
찾는 값과 그 값이 저장된 위치를 출력해야 하는데,
찾는 값은 j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위치는 m에 저장되어 있는데,
C 배열은 0부터 위치가 지정됩니다. 배열이 0부터 지정되는 것은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를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확인되는 배열의 위치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 열 번째가 됩니다.
그래서 0부터 시작되는 배열의 처리 위치에 +1을 하여 출력한 것입니다.
2)
행렬의 변화가 발생하는 배열의 경우 변화되는 값들을 살펴보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C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하므로
열의 시작은 0으로 고정되지만
열의 끝 위치는 배열의 크기인 x를 이용할 때 행의 중간까지는 x-행(i), 즉 7-i를 해야 하는데
i가 0일 때 L은 7이 산출됩니다 하지만 c는 0부터 시작하므로 열의 끝 위치는 0~6까지 변화해야 하는데, 7은 가질 수 없죠.
그래서 (x-i) 값에 +1을 하여 원하는 i가 0, 1, 2일 때 6 5 4까지의 값을 갖고
중간 행 이후 부터는
i+1을 하여 i가 3, 4, 5, 6일 때 3 4 5 6을 갖도록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