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66에 나오는 슈퍼키와 후보키에 속하는 복합키와의 차이점이 뭔지 궁금합니다.
똑같이 2개 이상의 키를 조합하여 만든키 같은데 49쪽 문제2에 보면 답이 복합키로 되있습니다.
슈퍼키는 왜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4과목 3장인 2014년 이전 신기술 용어는 책에 수록이 안되있고 다운받아보니 양이 너무나 많고 중요도도 다 D로 책정되어있습니다. 2014년 이전 신기술 용어도 공부를 해야 되는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1)
슈퍼키는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를 말합니다.
슈퍼키는 릴레이션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속성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범위가 넓습니다.
이러한 슈퍼키 중에서 유일성과 최소성(교재 2권 47p 사이드 참조)을 만족하는 집합이 후보키가 됩니다.
또한 이러한 슈퍼키 중에서 2개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기본키를 복합키라고 합니다.
2)
이전 신기술을 제공하는 이유는
최신 신기술동향은 최신 기술이 출제되는 반면 이전 신기술에서는 전산영어로 내용이 출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전 신기술 용어를 확인할 때는 핵심 내용 위주로 파악해 두세요. 혹 영어로 출제되더라도 핵심 내용만 파악하면 해당 용어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빈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다른 내용을 먼저 학습한 후 마지막으로 정리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11 09:27:02
안녕하세요.
1)
슈퍼키는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를 말합니다.
슈퍼키는 릴레이션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속성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범위가 넓습니다.
이러한 슈퍼키 중에서 유일성과 최소성(교재 2권 47p 사이드 참조)을 만족하는 집합이 후보키가 됩니다.
또한 이러한 슈퍼키 중에서 2개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기본키를 복합키라고 합니다.
2)
이전 신기술을 제공하는 이유는
최신 신기술동향은 최신 기술이 출제되는 반면 이전 신기술에서는 전산영어로 내용이 출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전 신기술 용어를 확인할 때는 핵심 내용 위주로 파악해 두세요. 혹 영어로 출제되더라도 핵심 내용만 파악하면 해당 용어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빈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다른 내용을 먼저 학습한 후 마지막으로 정리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