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p 검은 동그라미 4번에서 181페이지의 검은 동그라미는 a[k-2]=k 로 되있는데
답지에는 a[k-2]=k로 나와있습니다.
저는 181페이지에 있는게 맞는거같은데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183p의 알고리즘 답이 잘못나와있는것 같습니다
(2번은 >=로 되어있는데 문제설명에는 두수가 같은경우는 큰 수와 작은 수를 정할 필요가 없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정답이 4번까지 있구요)
알고리즘 순서도에서 검은 동그라미 10번에 A:B로 되어있는데 여기 가지가 왜 YES NO로 나눠지는지에 대한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3번은 MOD(BIG, SMALL) 로 표기해도 상관없나요?
안녕하세요.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위치를 1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A[K-1] = K를 하여
k가 2일 때 A[1] = 2
k가 3일 때 a[2] = 3과 같이
배열 A[1] ~ A[99]에 2 ~ 100까지 저장하는 것입니다.
같은 경우에 대한 별도의 처리조건이 없는 경우 =를 어느쪽에 하든 관계가 없다는 의미로 교재에서는 한 곳에 임의로 지정한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이 부분에 문제가 출제된다면 처리조건에 같은 경우 어떻게 처리하라는 조건이 있을 것입니다.
교재의 내용은 참고용으로 = 경우는 처리조건에 따라 작성하고 처리조건이 없다면 어느쪽에서 붙이는 관계가 없다고 이해해 두세요.
MOD 함수는 언어에 따라 사용법이 다릅니다.
MOD(A, B) 또는 A MOD B와 같이 다르죠
그래서 시험에 MOD 함수를 사용하는 문제가 출제된다면 처리조건에 함수 사용법이 제시될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04 11:41:22
안녕하세요.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위치를 1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A[K-1] = K를 하여
k가 2일 때 A[1] = 2
k가 3일 때 a[2] = 3과 같이
배열 A[1] ~ A[99]에 2 ~ 100까지 저장하는 것입니다.
같은 경우에 대한 별도의 처리조건이 없는 경우 =를 어느쪽에 하든 관계가 없다는 의미로 교재에서는 한 곳에 임의로 지정한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이 부분에 문제가 출제된다면 처리조건에 같은 경우 어떻게 처리하라는 조건이 있을 것입니다.
교재의 내용은 참고용으로 = 경우는 처리조건에 따라 작성하고 처리조건이 없다면 어느쪽에서 붙이는 관계가 없다고 이해해 두세요.
MOD 함수는 언어에 따라 사용법이 다릅니다.
MOD(A, B) 또는 A MOD B와 같이 다르죠
그래서 시험에 MOD 함수를 사용하는 문제가 출제된다면 처리조건에 함수 사용법이 제시될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