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치연산이지만 for문()안에있기때문에
i가 1일때부터 출력됩니다.
for문은 먼저 돌고나서 증감식에 들어가기 때문이죠,
그리고6까지 증가되었다가 조건에 맞지않기 때문에 출력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for문을 빠져나오게 되죠.
hap+=i 가 for문()밖에 있었다면 i는 6까진 출력되지만 hap에는 참여하지 못하니 15에서 끝났을거예요.
for()문에 {}가 있고 없고에 결과에 차이가 나네요~
출력첨부햇어요 ㅎ
-
*2017-04-02 12:30:27
후치연산이지만 for문()안에있기때문에
i가 1일때부터 출력됩니다.
for문은 먼저 돌고나서 증감식에 들어가기 때문이죠,
그리고6까지 증가되었다가 조건에 맞지않기 때문에 출력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for문을 빠져나오게 되죠.
hap+=i 가 for문()밖에 있었다면 i는 6까진 출력되지만 hap에는 참여하지 못하니 15에서 끝났을거예요.
for()문에 {}가 있고 없고에 결과에 차이가 나네요~
출력첨부햇어요 ㅎ
-
*2017-04-03 11:09:23
안녕하세요.
for문의 증가값에 사용되는 증감연산자는 전위는 후위든 관계없이 1씩만 증가합니다.
즉 ++i든 i++이든 동이랗게 1씩 증가하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02 19:09:09
전치연산으로 되어있는걸 제가 핸드폰으로 글을 쓰다보니 제대로 못썼는데..
저도 이클립스로 돌려보니 출력은 답과 똑같이 나오네요..
증감식은 전치이지만 반복문내에 있기 때문에 i=1 인상태로 한번 프린트문을 돌리고 나서
증감식이 적용이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럼 두번째반복이 시작되기 전에 i의 값이 2로 변하게 되는건가요?
그렇게 되면 연산 이후 증감식이 이루어지는건데 후치랑 차이점을 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