쌤 안녕하세요
164p 문제4-1번의,
답이 k==j 이잖아요
지금 1번이 짝수라면 even이 더해지는 식이 수행되는 형태인데,
그럼 여기서 j를 사용하지 않고
k%2==0이라고 답을 써도 맞나요?
-----------------------------
그리고 만약에 답안지에 써져있는 답과는 다르더라도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소스를 돌렸을때
돌아가면 정답으로 쳐주나요?
-----------------------------
그리고 162p문제 2-3의 답이 들어갈 다이아몬드칸이
K=J 가 아니라 K==J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문제의 처리조건으로 특별하게 제시된 것이 없다면 결과가 맞는 답은 모두 맞게 채점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알고리즘은 변수 설명에서 j와 k의 용도를 언급했으며 j가 증가하는 값임을 알 수 있고 이 값을 대상으로 홀짝을 판별해야 함을 알고 있기에 여기서 홀짝 판별 대상의 기능을 하는 k와 j를 비교한 것입니다.
그래서 논리적으로 k==j가 더 알맞은 답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k == j는 C언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순서도에서 마름모 안에서의 값 비교 중 같다는 k=j 로 수행합니다.
둘을 구분해서 알아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30 11:30:04
안녕하세요.
문제의 처리조건으로 특별하게 제시된 것이 없다면 결과가 맞는 답은 모두 맞게 채점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알고리즘은 변수 설명에서 j와 k의 용도를 언급했으며 j가 증가하는 값임을 알 수 있고 이 값을 대상으로 홀짝을 판별해야 함을 알고 있기에 여기서 홀짝 판별 대상의 기능을 하는 k와 j를 비교한 것입니다.
그래서 논리적으로 k==j가 더 알맞은 답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k == j는 C언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순서도에서 마름모 안에서의 값 비교 중 같다는 k=j 로 수행합니다.
둘을 구분해서 알아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