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Ary[j] += numAry[i];
정답 및 해설에 디버깅을 보면
1 0 0 0 0
1 1 0 0 0
1 1 1 0 0
1 1 2 0 0
.
.
.
.
1 1 2 4 4
1 1 2 4 8
이렇게 되어 있는데
이게 어떻게 증가하게 되는건지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numAry에는 1, 0, 0, 0, 0 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즉
numAry[0]에는 1이
numAry[1]에는 0이
numAry[2]에는 0이
numAry[3]에는 0이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죠.
바깥쪽 for문
j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j<5 조건에 만족하므로 안쪽 for문을 수행합니다.
안쪽 for문
i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i
다시
바깥쪽 for문
j는 증가값 ++j로 인해 1 증가되어 1이된 상태에서 종료값 j<5 조건에 만족하므로 안쪽 for문을 수행합니다.
안쪽 for문
i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i
numAry[J] += numAry[i];를 수행하여
numAry[1]에 numAry[0]의 값을 누적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numAry[1]의 값이 변경됩니다.
numAry[0]에는 1
numAry[1]에는 1
numAry[2]에는 0
numAry[3]에는 0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안쪽 for문
i는 증가값 ++i로 인해 1 증가되어 1이된 상태에서 종료값 i
다시
바깥쪽 for문
j는 증가값 ++j로 인해 1 증가되어 2가된 상태에서 종료값 j<5 조건에 만족하므로 안쪽 for문을 수행합니다.
안쪽 for문
i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i
numAry[J] += numAry[i];를 수행하여
numAry[2]에 numAry[0]의 값을 누적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numAry[2]의 값이 변경됩니다.
numAry[0]에는 1
numAry[1]에는 1
numAry[2]에는 1
numAry[3]에는 0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안쪽 for문
i는 증가값 ++i로 인해 1 증가되어 1이된 상태에서 종료값 i
numAry[J] += numAry[i];를 수행하여
numAry[2]에 numAry[1]의 값을 누적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numAry[2]의 값이 변경됩니다.
numAry[0]에는 1
numAry[1]에는 1
numAry[2]에는 2
numAry[3]에는 0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안쪽 for문
i는 증가값 ++i로 인해 1 증가되어 2가된 상태에서 종료값 i
..........
위와 같은 과정으로 이후 과정을 계속해서 수행합니다.
즉 j가 3일 때
numAry[3]은 처음에 0이 었지만
i가 0일 때
numAry[0]의 값이 1이 누적되어 numAry[3]은 1이 됩니다.
이어서 i가 증가하여 1일 때
numAry[1]의 값이 1이 누적되어 numAry[3]은 2가 됩니다.
이어서 i가 증가하여 2일 때
numAry[2]의 값이 2가 누적되어 numAry[3]은 4가 됩니다.
이어서 i가 증가하여 3일 때 i 같은 원리로 j가 4일 때는 numAry[4]에 numAry[0]~numAry[3]까지의 값이 누적되어 i가 0일 때 numAry[4]는 1 i가 1일 때 numAry[4]는 2 i가 2일 때 numAry[4]는 4 i가 3일 때 numAry[4]는 8 이 됩니다. 그래서 결국 최종적으로 nuymAry 배열의 값은 1 1 2 4 8이 되므로 화면에는 한 줄씩 출력되어 1 1 2 4 8 이 된 것입니다 수행 과정을 469쪽 디비겅 표와 함께 이해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9 09:28:18
안녕하세요.
numAry에는 1, 0, 0, 0, 0 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즉
numAry[0]에는 1이
numAry[1]에는 0이
numAry[2]에는 0이
numAry[3]에는 0이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죠.
바깥쪽 for문
j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j<5 조건에 만족하므로 안쪽 for문을 수행합니다.
안쪽 for문
i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i
다시
바깥쪽 for문
j는 증가값 ++j로 인해 1 증가되어 1이된 상태에서 종료값 j<5 조건에 만족하므로 안쪽 for문을 수행합니다.
안쪽 for문
i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i
numAry[J] += numAry[i];를 수행하여
numAry[1]에 numAry[0]의 값을 누적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numAry[1]의 값이 변경됩니다.
numAry[0]에는 1
numAry[1]에는 1
numAry[2]에는 0
numAry[3]에는 0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안쪽 for문
i는 증가값 ++i로 인해 1 증가되어 1이된 상태에서 종료값 i
다시
바깥쪽 for문
j는 증가값 ++j로 인해 1 증가되어 2가된 상태에서 종료값 j<5 조건에 만족하므로 안쪽 for문을 수행합니다.
안쪽 for문
i는 초기값 0을 가지고 종료값 i
numAry[J] += numAry[i];를 수행하여
numAry[2]에 numAry[0]의 값을 누적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numAry[2]의 값이 변경됩니다.
numAry[0]에는 1
numAry[1]에는 1
numAry[2]에는 1
numAry[3]에는 0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안쪽 for문
i는 증가값 ++i로 인해 1 증가되어 1이된 상태에서 종료값 i
numAry[J] += numAry[i];를 수행하여
numAry[2]에 numAry[1]의 값을 누적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numAry[2]의 값이 변경됩니다.
numAry[0]에는 1
numAry[1]에는 1
numAry[2]에는 2
numAry[3]에는 0
numAry[4]에는 0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안쪽 for문
i는 증가값 ++i로 인해 1 증가되어 2가된 상태에서 종료값 i
..........
위와 같은 과정으로 이후 과정을 계속해서 수행합니다.
즉 j가 3일 때numAry[3]은 처음에 0이 었지만
i가 0일 때
numAry[0]의 값이 1이 누적되어 numAry[3]은 1이 됩니다.
이어서 i가 증가하여 1일 때
numAry[1]의 값이 1이 누적되어 numAry[3]은 2가 됩니다.
이어서 i가 증가하여 2일 때
numAry[2]의 값이 2가 누적되어 numAry[3]은 4가 됩니다.
이어서 i가 증가하여 3일 때 i
같은 원리로 j가 4일 때는
numAry[4]에 numAry[0]~numAry[3]까지의 값이 누적되어
i가 0일 때 numAry[4]는 1
i가 1일 때 numAry[4]는 2
i가 2일 때 numAry[4]는 4
i가 3일 때 numAry[4]는 8
이 됩니다.
그래서 결국 최종적으로 nuymAry 배열의 값은
1 1 2 4 8이 되므로 화면에는 한 줄씩 출력되어
1
1
2
4
8
이 된 것입니다
수행 과정을 469쪽 디비겅 표와 함께 이해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